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응급관리요원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2

영문명
The Effect of Emergency Safety Relax Services Providers' Work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저자명
주경희(Kyong-Hee Ju) 황경란(Kyoung-Ran Hwang)
간행물 정보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53호, 123~14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관리요원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노인맞춤돌봄지원센터에서 실시한 「2023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종사자 인권 실태조사(응급관리요원)」 데이타를 활용하였다. 경기도 응급안전안심서비스수행기관 33개소의응급관리요원(103명, 2023년 8월 기준)중에서 설문조사에 응답한 85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만족도에 대한 평균은 3.44점(SD=.693)으로 나타났고, 근무환경요인 중에서 근무조건의 전체 평균은 2.41점(SD=.697)이고, 근무관계의전체 평균은 3.60점(SD=.749)으로 근무관계에 비해 근무조건요인은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요인중 근무조건이 만족스러울수록, 근무관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근무환경을 근무조건과 근무관계로 세분화하여 응급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응급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제도적 차원의 근무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work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management personnel involved in providing emergency safety relax services. Utilizing data from the “2023 Human Rights Survey of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Workers (Emergency Safety Relax Services Providers)” conducted by the Gyeonggi-do Elderly Customized Care Support Center, the research analyzed responses from 85 out of 103 emergency management personnel across 33 Emergency Safety Assurance Service agencies in Gyeonggi Province as of August 2023.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1.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was 3.44 (SD = .693). In terms of work environment factors, the average score for working conditions was 2.41 (SD = .697), while the average score for workplace relationships was 3.60 (SD = .749), highlighting a lower score for working conditions. Second, job satisfaction tends to be higher when working conditions are favorable and workplace relationships are positive. By breaking down the work environment into specific components, such as working conditions and relationship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and policy-level recommendations aimed at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ultimately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Safety Relax Services Provid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경희(Kyong-Hee Ju),황경란(Kyoung-Ran Hwang). (2024).응급관리요원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123-143

MLA

주경희(Kyong-Hee Ju),황경란(Kyoung-Ran Hwang). "응급관리요원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024): 123-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