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 15-Week Exercise Program on the Kookmin Physical Fitness 100 Test Results among Noncommissioned Officer (NCO) Studies Students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송상욱(Sang Wook Song)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8권 제6호, 37~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사관학과 대학생들의 15주간 운동이 국민체력100 체력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위해 국민체력100측정 결과를 적용한 기준으로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북 소재의 P대학교 부사관학과 재학중인 학생들로 실험군15명(남11, 여4), 대조군15명(남9, 여6)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첫째, 체격(신체조성)의 지표인 신장과 체중의 경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서 사전-사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둘째, 좌측 악력과 우측 악력(근력) 모두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01). 셋째,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유연성)는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분석 결과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1), 넷째, 교차윗몸일으키기(근지구력)는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분석 결과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다섯째, 왕복오래달리기횟수(심폐지구력)에서 실험집단은 횟수와 Vo2max에서 사전-사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1). 여섯째, 10m4회왕복달리기(민첩성)는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분석 결과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났다(p<.05). 끝으로, 제자리멀리뛰기(순발력)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p<.05), 사전-사후 분석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국민체력100 측정 결과 실험집단의 체력 평가 8가지 측정항목 지표 전반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유도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15주간 운동이 체력측정 결과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15-week exercise program on Kookmin Physical Fitness 100 (KPF100) test results, focusing on pre- and post-change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0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NCO) Studies at P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15 students: 11 males, 4 females) and a control group (15 students: 9 males, 6 females). A T-test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First, the indicators of physical composition, such as height and weigh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measurement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 .05).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left-hand and right-hand grip strength (muscular streng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pre- and post-measurements (p < .001). Third, sit-and-reach (flexi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1). Fourth, cross sit-ups (muscular endura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1). Fifth, the number of shuttle runs and VO2Max (cardiopulmonary enduranc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1). Sixth, the 10m 4-round shuttle run (ag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5). Finally, the standing long jump (explosive power)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measure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 .05), but neither group showed significant pre- to post-changes. Overall, the KPF100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across all eight fitness indica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15-week exercise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articipants' physical fitnes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의 정치와 시민교육과 한국의 통일교육 분석에 관한 연구
- 유전자 편집 생물체(Genome-Edited Products)의 규제체계의 개선과 정책수렴에 관한 연구: 국제기준 조화의 정책적 접근
- 인터넷신문 선거보도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17~22대 총선보도 심의결과 분석
- 아로마 흡입법이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용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변화와 위협 전망: 군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부사관학과 대학생들의 15주간 운동이 국민체력100 체력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북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한국, 미국, 일본과의 미사일 방어 협력 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