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구술콘텐츠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시론적 논의 - 문화기억, 구술문화, 스토리텔링의 융합적 개념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82
- 영문명
-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of Local Oral Content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onvergent Concepts of Cultural Memory, Oral Culture, and Storytelling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민웅기(Woongki Min)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7권 제2호, 253~2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구술콘텐츠를 관광자원화하기 위해서 선행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는 문화기억, 구술문화,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주요 개념을 정리하고, 그 개념들 이 어떻게 융합적으로 연계되어 지역공동체의 관광개발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지 를 시론적 수준에서 논의했다. 지역 구술콘텐츠의 원형은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기억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실적, 가상적 구현물의 결합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의 구술콘텐츠는 문화기억을 통해 집합적 지식을 전승, 보존하면서 인 간의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특정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구술콘텐츠는 문학, 역사, 예술, 철학 등의 학술개념이 어우러진 융합적 성격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스토리텔링 과정은 지역 구술콘텐 츠가 관광자원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인문학적 개념들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그 스토리텔링 과정을 통해 구술성을 지닌 여러 가지 사회적 산물들은 인간의 기억 에 의해 해석되고, 특수한 문화적 의미가 부여되면서 지역 고유의 구술문화로 자리 잡게 된다. 지역 구술콘텐츠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시발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 는 문화기억, 구술문화, 스토리텔링과 관련한 융합적 지식생태계의 구현을 위한 개 념 고찰 연구는 인문학에 기반을 둔 학술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rganized the concepts of cultural memory, oral culture, and storytelling for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of local oral content, and discussed how these concepts can be integrated and applied to the tourism development process of local communities at a preliminary level. The prototype of local oral content can be a combination of various factual and virtual implementations of cultural memory members of a local community share. Local oral content transmits and preserves collective knowledge through cultural memory, helping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humans. Oral content based on a specific local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 of a convergent cultural content that combines academic concept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rt, and philosophy. The storytelling plays a role in mediating various humanistic concep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ocal oral content into tourism resources. The storytelling process helps various social products with orality to be interpreted by human memory, given special cultural meanings, and established as a unique oral culture of the region. As part of the preliminary study for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of local oral content, the study on the concepts of implementing a convergence knowledge ecosystem related to cultural memory, oral culture, and storytelling is significant as an academic study based on the humanities.
목차
1. 서론
2. 지역 구술콘텐츠에 기반한 관광자원화 분석을 위한 주요 개념, 선행연구, 사례 고찰: 문화기억, 구술문화, 스토리텔링
3. 융합적 지식생태계 구현을 위한 지역 구술콘텐츠 기반 관광자원화 연구의 필요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반추 하위유형의 군집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 대학생을 중심으로
- 교육 테크놀로지의 위상과 역할 재고찰 - 활동이론과 포스트휴머니즘적 관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항공서비스 전공생의 직업가치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업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통합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어포던스이론기반 에듀테크활용 방향성 탐색
- 1형당뇨병 환자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조사 - 청소년, 청년 중심으로
- 학생 진로 탐색에 기초한 실용음악과 교육과정 모형개발 - M대학을 중심으로
- 지역 구술콘텐츠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시론적 논의 - 문화기억, 구술문화, 스토리텔링의 융합적 개념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컬포츠(Culports) 융합 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비전공자 대상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교육 현황
- 성인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 그릿과 정신건강의 병렬 매개효과
-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 비정신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 지식융합연구 제7권 제2호 목차
- 동독과 중동유럽 체제전환이 남북한 통일에 주는 시사점
-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전자과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서사기법, 심기와 거두기(Plant & Payoff) 연구 - OTT 영화 「전,란(Uprising)」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커뮤니케이션북스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 겨레어문학
- 韓國古典硏究
- 구비문학연구
- 커뮤니케이션북스
- 대왕사
- 국토연구
- 인문논총
- 구술사연구
- 글로벌문화콘텐츠
- 학현사
- 호텔관광연구
- 언론과학연구
- 경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어문학
- 지역개발연구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기문사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 한국사상과 문화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예술경영연구
- 국제한인문학연구
- 인문콘텐츠
- 비교일본학
- 전북학연구
- 동아시아고대학
- 한국 문화인류학
- 스포츠인류학 연구
- 구술사연구
- 아르케
- 관광연구
- 대한지리학회 지
- 양호환 외 공저, 책과 함께
- 韓國古典硏究
- 온지논총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구비문학연구
- 삼성경제연구소
- 한울
- 한국문학논총
- 관광학연구
- 구술사연구
- 관광연구논총
- 지역과문화
- 문화 예술경영학연구
- 강원사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국어국문학
- 구술사연구
- 커뮤니케이션북스
- 기호학 연구
- 철학연구
- 관광연구저널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