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reedom of Religion and State Jurisdi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서헌제(HunJe Suh)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6권 1호, 29~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단이 분립해 있는 한국교회의 현실상 다른 교단에 속하는 교회의 목사임직을 받으려면 그 교단 직영신학교에서 편목과정을 거쳐 강도사 인허를 받아야 한다. 이는 각 교단마다 교리와 신조 그리고 교회헌법이 약간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이에 대한 최소한의 교육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법원은 편입과 편목의 구분을 전제로 오OO목사가 예장합동교단의 총신대학교에 편목이 아닌 일반편입생, 다시 말하면 신규목사 과정을 밟았고 따라서 과정 이수 후에 다시 목사 고시와 안수를 받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는 대법원이 사실관계에 대한 오해에 기인한 잘못된 판단이라고 할 것이다.
개교회 중심주의를 취하는 기독교 교회에서 목사, 특히 담임목사는 교회의 영적지도자로서 누가 목사의 자격이 있는가를 심사하고 결정하는 권한은 교회(지교회, 노회, 총회)의 고유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전체 교회와 교단의 의사에 반하는 일부 교인들의 주장을 받아 들여, 한국을 대표하는 사랑의교회 담임목사의 목사자격이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한국교회와 교인 전체를 무시하고 신앙적 자존심을 여지없이 무너뜨렸다.
사랑의교회 사건은 어느 특정한 교회, 특정한 목사의 문제가 아니다. 또한 특정한 목사에 대한 호불호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국가가 교회의 고유한 영역에 간섭하고 통제하는 중대한 사건이고 만일 이를 그대로 묵과하거나 지나치게 되면 사법부는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 보호’라는 명분을 내세워 얼마든지 교회내부 문제에 개입하여 기독교가 누리는 종교의 자유를 유린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be a pastor of a church belonging to another denomination, the Korean church, which is divided into denominations, has to be trained at the denomination's direct seminary and approved by a robber. This is to provide a minimum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the doctrines, creeds, and constitutions of the churches differ slightly. However,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Pastor Oh Jung-hyun, who was not a member of the Yejang, had a general pastor, that is, a new pastor course, and had to receive pastoral notice and ordination after completing the course. This would be a mis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due to a misunderstanding of facts.
In a Christian church that takes local church-centeredness, the pastor, especially the chief pastor, is the spiritual leader of the church and the authority to examine and determine who is a minister is the inherent area of the church (local church, presbytery, and general assembly). Nevertheless, the Supreme Court ignored the Korean church and its members and believed in religious pride by accepting the claims of some members of the church and denominations, and deciding that they were not pastors of the pastor of the Sarang Church. I broke it
Sarang Church is not a matter of any particular church or of a particular minister. Nor is it a matter of favor or dislike for a particular pastor. This is a significant event in which the state interferes and controls the inherent territory of the church. If it is tolerated or overreached, the judiciary has the cause of 'protecting the right of the people to be judged.' Freedom will be devastated.
목차
Ⅰ. 서론: 목사의 자격을 누가 정하는가 ?
Ⅱ. 교회와 국가
Ⅲ. 사랑의교회판결
Ⅳ. 종교의 자유와 사랑의교회판결
Ⅴ. 결 론
키워드
목사의 자격
사랑의교회
교회와 국가
가이사
종교의 자유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
권징재판
사법심사
담임목사
논리와 경험법칙(
편목
편입
재안수
정교분리
Qualification of Pastor
Sarang Churh
Church and State
Caesar
Freedom of Religion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Disciplinary Trial
Judicial Review
Chief Pastor
Logic and Experience Law
Arrangement
Transfer
Re-ordination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기본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주요국 인공지능 관련 법제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공공성과 교회의 연대성 - 트라우고트 예니헨의 윤리 이론의 토대
- 탈병리학적(post-pathological) 불안으로서의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불안: 존재의 용기를 매개로 한 존재 자체로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