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양심의 자유와 기독교

이용수  6

영문명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and Christianity
발행기관
한국교회법학회
저자명
김일수(Ilsoo Kim)
간행물 정보
『교회와 법』6권 1호, 10~28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눈에 비춰진 최근 현안이 된 대법원판결은 사려 깊지 못한 내용의 위험성 외에도 대법원판결형식의 불완전성을 고스란히 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른 바 ‘부분사회론’으로도 일컬어지는 단체의 내부사항에 관한 행위는 그것이 순수한 내부적인 사항인 경우에는 사건의 성질상 그 단체의 자주성을 존중하여 사법부 자체가 그 심사를 자제해야한다는 것이 종래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었다. 물론 종교단체의 내부행위라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드러난 권리 내지 법률관계 또는 절차의 정당성을 둘러싼 분쟁은 재판의 대상이 될 수 있으나, 단체내부의 헌법이나 규약에 따른 내부징계행위 또는 교단헌법에 따른 목사의 자격요건이나 청빙 및 위임 등에 관한 사항은 세속법정이 개입하기에 적절치 않은 종교단체 내부의 거룩한 사무이므로 원칙적으로 사법심사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나아가 판례의 변경은 전원합의체판결로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충격이나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기간 유죄로 하던 것을 무죄로 변경할 겨우나 그 반대되는 경우에는 바로 유무죄로 나갈 것이 아니라 판결변경예고제(obiter dictum)를 도입하여 일정기간 입법적인 조치도 취할 여유를 갖게 해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ecent issue of the Supreme Court ruling, which is reflected in our eyes, shows that in addition to the risks of inconsiderate content, the Supreme Court ruling holds the imperfectness of the Supreme Court form. So-called 'subsocial theory' is the act on the internal matters of an organization. In the case of pure internal matters, the judiciary itself should refrain from examining the matters in conside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the organization. It was a case of precedent. Of course, disputes surrounding the legitimacy of legal rights or legal relations or procedures specifically revealed, even in the internal acts of religious organizations, may be subject to trial, but internal disciplinary actions under the Constitution or bylaws within the organization or ministerial status under the denomination's constitution. The requirements, calls and delegations are, in principle, sacred affairs within religious organizations that are not appropriate for the secular court to intervene and, in principle, cannot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Furthermore, not only should the case be changed by a consensus judgment, but in order to minimize social shock or aftereffect, it is only necessary to change the conviction for a long time to innocence, or vice versa.), It would be good to have time to take legislative action for a period of time.

목차

Ⅰ. 위기의 현실화
Ⅱ. 종교의 자유의 위기
Ⅲ. 양심의 자유에서 지평의 혼동
Ⅳ. 맺음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수(Ilsoo Kim). (2019).종교·양심의 자유와 기독교. 교회와 법, 6 (1), 10-28

MLA

김일수(Ilsoo Kim). "종교·양심의 자유와 기독교." 교회와 법, 6.1(2019): 10-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