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Bioactive Properties of Derma Genie™-DLP121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Enhancing Skin Health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박석묵(Seokmuk Park) 한나연(Nayeon Han) 유보(Bo Liu) 김재린(Jaereen Kim) 김지선(Ji-Seon Kim) 조수현(Suhyeon Cho) 권혜인(Hye-In Gwon) 김은경(Eun Kyung Kim) 강준혁(Jun-Hyeok Kang) 배승희(Seunghee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1권 제5호, 1124~114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8종의 생약 복합추출물인 Derma Genie™-DLP121의 피부 건강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n vitro model에서 Derma Genie™의 생리 활성 정도를 평가했으며, 4종의 피부세포 내 항산화, 항염, 보습 증진, 주름 개선 및 미백 효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Derma Genie™에는22.577 mg GAE/g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었고, DPPH assay에서는 최대 74.947%의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과염증 반응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는 Derma Genie™가 산화 질소(NO) 뿐만 아니라, 3종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1β, Tnf-α)의 농도 의존적인 감소 효과를매개하여 상당한 항염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Derma Genie™는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효소인HAS1 및 HAS2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시키고,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HYAL1의 발현은 저해시켜 세포 내 보습 증진 효능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ultraviolet B (UVB)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 및 주름 연관유전자(COL1A1, COL3A1)의 발현 감소가 Derma Genie™ 처리 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대 농도의 Derma Genie™ (1 mg/mL)와 UVB를 병용 처리한 군에서 주름 연관 인자인 COL1A1 및 COL3A1의발현량이 각각 55.080 및 57.103% 개선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α-MSH로 멜라닌 합성을 유도시킨B16F10에서 Derma Genie™의 병용 처리는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을 최대 95.159% 감소시켰다. 이는Derma Genie™가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Derma Genie™가 피부세포 내 항산화, 항염, 보습 증진, 주름 개선 및 미백 효능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피부건강 증진을 위한 신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skin health benefits of Derma Genie™-DLP121, an extract complex from eight medicinal herbs. The bioactivity of Derma Genie™ was assessed in vitro, focusing on its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skin-moisturizing, anti-wrinkling, and anti-pigmentation effects on four types of skin cells. As a result, Derma Genie™ was found to contain 22.577 mg GAE/g of polyphenols and exhibited a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of 74.947% in the DPPH assay. In RAW 264.7 cells, where an excessive inflammatory response wa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treatment, Derma Genie™ significantly re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the levels of thre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Il-1β, Tnf-α) in a dose-dependent manner, demonstrating strong anti-inflammatory properties. Derma Genie™ also enhanced intracellular moisturizing efficacy by upregulating the gene expression of HAS1 and HAS2, enzymes involved in hyaluronic acid synthesis, while downregulating HYAL1, an enzyme that degrades hyaluronic acid. To further investigate its anti-wrinkling effects, ultraviolet B (UVB), a major physiological factor in aging, was applied to dermal fibroblasts. Co-treatment with UVB and Derma Genie™ improved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wrinkle-related genes (COL1A1, COL3A1). Notably,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Derma Genie™ (1 mg/mL) along with UVB,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wrinkle-related genes COL1A1 and COL3A1 increased by 55.080% and 57.103%, respectively. Additionally, in B16F10 cells where melanin synthesis was induced by α-MSH, co-treatment with Derma Genie™ resulted in a maximum reduction of 95.159% in intracellular melanin content, indicating an anti-pigmentation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erma Genie™ possesses excellen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moisturizing, anti-wrinkle, and anti-pigmentation properties at the cellular level,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novel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프 앱 어포던스 특성이 이용자 몰입감과 e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Derma Genie™-DLP121의 생리 활성 평가
- 골프 커뮤니티 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긍정적 감정반응과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친수성 곁가지를 함유한 콘텍트렌즈의 제조와 물리적 특성 연구
-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맨몸 스쿼트 시 운동 속도에 따라 COP와 근전도에 미치는 영향
- 내장 지방조직의 혈관신생 조절에 대한 hesperidin과 quercetin의 영향
- 직장인의 의복구매 의사결정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미치는 영향
- 파일럿 플랜트 반응기에서 생산된 페플라스틱 열분해유의활용을 위한 분획별 특성분석 연구
- 다알리아(Dahlia pinnata Cav.) 꽃차의 침출 조건 및 제다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함유량 비교
- 텍스트 결속과 강조 현상을 통한 화장품 광고의 감성 소구 유형 분석
- Enhancing Exercise Outcomes through Cognitive Stimulation: A Review
- 장년기 여성의 웰다잉프로그램이 자아통합감, 웰다잉 인식 및 태도,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천연추출 복합물을 함유한 세정용 화장품의 임상적 소취효능
-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Crude oil/Water 에멀젼의 상분리에 대한 연구
- 수중운동이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의 베타 아밀로이드 및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크로스핏(Crossfit) 참가자의 참여기간에 따른 부상 관련 연구 동향분석
- 당근씨 오일이 손상모발에 미치는 영향
- 필라테스 지도자와 고객과의 라포형성(Rapport)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상호의존모형(APIM)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인문학적 소양 및 감성지능이 도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 Improving Acceptability of Goji Berry Functional Beverages through Multi-Ingredient Formulation: A Statistical Sensory Approa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