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Improvement of Business Management Education Efficiency in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문용호(Yong-Ho Moon) 신지숙(Ji-Sook Shi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3호, 275~2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이론은 현재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구성주의 교육 철학에 기초한 교수·학습 이론으로, 이는 실제 상황에서 실제적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동기유발을 높여주고 학습자에게 학습의 의미 및 목적을 분명하게 해 줄 뿐 아니라 학습 후 실제 실생활에서의 적용능력도 높여주는 교수·학습방법이다. 그러므로 실제 기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는 경영학교육에 상황학습이론이 적용될 경우 흥미도 및 학습태도 개선,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수업설계 및 적용이 경영학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태도, 그리고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강의위주의 전통적 수업진행 방식은 수업진도에 따라 난이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학생들의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상황학습이론에 기초하여 개발한 학습 자료를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은 해당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태도가 실험 전과 후에 변화 없이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학습이론에 기초한 수업진행 방식은 기존의 강의위주의 전통적 수업진행 방식에 비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에서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및 일상생활 사례의 제공, 자율적 수업 참여를 통해서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를 학기 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율적 참여와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학업성적에서의 편차를 감소시키고 성적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그러나 상황학습이론이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상황파악이 용이하도록 기본 개념 설명 후 상황학습을 실시하거나 또는 동영상이나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강의주제와 부합된 실제상황을 찾아내고 강의내용에 맞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ituated learning is a teachingㆍlearning theory based upon the constructivism education philosophy currently appearing newly, which motivates students by providing actual problems in actual situation. And it is a teachingㆍlearning method not only to help students have obvious meaning and purpose of learning but also to heighten application ability in their actual life after learning. Therefore, if we use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for the business management education in which issues occurring actually in enterprises are treated, it will be helpful in the raise of interest level an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that teaching plan and application using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gives to business management education from the points of interest level in subjects,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cused on existing lectures gave negative effects to students' interest in subject and learning attitude due to rise in a level of difficult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clas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led classes by applying for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ased upon situated learning theory showed interest level in the subject and learning attitude without change both before and after experiment. Second, the teaching method based upon situated learning theory was helpful for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compared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cused on lecture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ults gave positive effects to interest in subjects and learning attitude by maintaining interest in subjects and attitude up to the condition of the beginning of semester through providing the situations which may actually occur in enterprises and daily life cases and autonomous participation in class. Also, it is interpreted that students share information one another through autonomous participation and cooperative study so that it may reduce variation in academic results and improve academic results.
However, for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o be more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exercise situated learning after explanation of basic concepts for easy understanding of situation or to use videos or visual materials. Moreover, it is important to seek actual situ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of the lecture an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suitable to the lecture cont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의 자본구조에 따른 회계이익과 장부가액의 가치관련성: 자기자본기업과 부채기업의 비교
- CGE 모형에 의한 한·중·일 FTA의 거시경제효과 분석
- 미국 금융위기 전후 독일 주식시장과 유로 채권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전시 노획품·전리품의 회계처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Investment Decisions by Experienced Investors and Inexperienced Investors: A Focus on the Sunk Cost Effect
- 테마레스토랑의 이미지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비영리조직의 서비스 품질요인이 후원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정희 대통령 서거 직후 미국의 대한정책
-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 유럽연합의 언어갈등에 대한 연구: 오직 영어 또는 다언어주의인가?
- 한국의 K-IFRS와 K-GAAP 차이와 이에 따른 영향 검토: 사업결합에 따른 무형자산의 인식 및 평가를 중심으로
- 중동부유럽에서의 두 가지 체제전환(體制轉換)
- 치과 진료 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조사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 촌민자치 실시 과정 중 향진정부의 통제와 촌민위원회의 행정화
- 한·중 관광수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 대학의 경영학 교육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상황학습이론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