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ettlement Aspects of Overseas Chinese in Thailand: Focusing on the Thai Novel Letters from Thailand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최난옥(Nanoak Choi)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2권 제3호, 157~1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00통의 편지로 구성된 보딴의 장편 소설 『태국에서 온 편지』를 통해 1945년부터 1967년까지 시대적 배경하의 태국내 화교의 정착 양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태국내 화교의 유입 배경을 보면 일차적으로 중국인이 태국 등 다른 나라로 이민 가는 이유는 과밀한 인구와 척박한 자연환경 때문이다. 이차적 이유는 중국인이라는 혈통에 대한 자부심으로 중국인의 우수성을 세상에 널리 알리겠다는 사명감으로 발전된 중화사상이다. 주인공 딴쑤엉우는 남의 나라에 의탁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이라는 자부심이 강하고 중국 문화의 우수성을 세상에 알려서 전파시키려는 의지가 확고하다. 중국인의 생존 기질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그는 태국 현지의 문화와 현지인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며, 태국 문화나 태국인의 기질이 환경의 산물인 점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한다. 태국에서 화교는 친척친구 외에도 같은 성씨끼리 도움을 주고받고 결속력을 다짐으로써 중국 전통 문화를 수호한다.
태국내 화교의 정착 과정을 보면 화교 1세대와 화교 2세대는 서로 다른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고집하는데 따른 대립 양상을 보인다. 화교 1세인 딴쑤엉우는 중화사상이 강한 인물로서 중국 전통 문화를 고수하고 이를 그의 자녀들에게 전수시키고자 한다. 그는 자녀들에게 중국인 혈통의 의무를 강요하는데, 딸보다는 아들에게 더 기대감을 갖고 가업을 잇도록 과도한 의무감을 부여함으로써 오히려 탈선하게 만든다. 화교 2세인 딴쑤엉우의 자녀들은 태국에서 태어나서 태국인 국적을 보유했으며 자신들이 태어난 태국에서 살고자 한다.
태국내 화교의 정착 양상을 보면 시대적으로 화교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정체가 바뀌고 태국과 중국의 국교단절이 지속되면서 중국으로 왕래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다. 화교는 상업에 소질이 없는 태국인의 기질을 호기로 삼아 상업에 종사하여 성공하지만, 태국 문화에 대한 이해보다는 재물 축적에만 힘쓰는 부유한 화교에 대한 태국인의 저항이 발생한다. 화교 고용주와 태국인 고용인이라는 신분차이에서 오는 갈등은 생활의 기반이 태국이며 정제의 변화로 인해 중국으로의 왕래가 어려워진 화교와 태국에 대한 주인의식이 있는 태국인 간의 충돌로 이어진다. 태국인 국적을 보유한 화교 2세대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 문화를 고집하는 화교 1세대조차도 태국에 정착하는 데에는 속지주의 국가인 태국에 걸맞게 태국인의 민족동화의 역량이 가장 큰 역할을 한다. 결혼상대자 선택은 화교 1세와 2세 모두다 상업에 종사하거나 성실한 성격의 인물이라면 중국인이건 태국인이건 가리지 않고 배우자로 받아들인 점을 보면 우수한 인물에 대해서는 탈민족주의적인 보편적 시각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ttlement aspects of overseas Chinese in Thailand under the periodical background from 1945 to 1967 through Botan’s novel Letters from Thailand that consists of 100 letters. The background for inflow of Chinese in Thailand shows that the primary reason why Chinese emigrate to other countries such as Thailand is because of overpopulation and barren natural environment. The secondary reason is the Sinocentrism developed based on pride of their blood and the sense of duty that they will let the world know of how outstanding Chinese people are. The protagonist Tan Suang U lives in another country but still takes pride in being a Chinese, and has the strong will to spread the excellence of Chinese culture to the world. Emphasizing the excellent disposition of survival by Chinese, he does not feel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local Thai culture or Thai people. He also does not perceive that the Thai culture or Thai people’s disposition is a product of the environment. In Thailand, Chinese people protect their traditional Chinese culture by helping one another and solidifying cohesion with among those with the same last names, in addition to friends and relatives.
The settlement process of Chinese in Thailand shows how first-generation Chinese and second-generation Chinese face conflicts in insisting on different lifestyles and mindsets. Tan Suang U, who is a first-generation Chinese, has a strong sense of Sinocentrism and thus sticks to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ries to inherit this to his children. He forces the duties of the Chinese blood on his children, giving a more excessive sense of duty with greater expectations to his son than daughter so that he will take over the family business, which rather leads to deviation. Tan Suang U’s children, who are second-generation Chinese, are born in Thailand and thus have Thai nationality, and want to live in Thailand where they were born.
The settlement aspects of Chinese in Thailand show that Chinese face the tough situation in which they cannot go to China when the identity changes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and diplomatic relations are in a rupture between Thailand and China. Chinese people succeed in commerce as they take advantage of the favorable opportunity in which Thai people are not good at commerce, but Thai people begin to resist toward rich Chinese people who struggle to gain wealth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Thai culture. The conflicts that arise from the difference in social standing between Chinese employer and Thai employee lead to the conflicts between Chinese people who cannot go back to China due to changes in identity and Thai people who have ownership of Thailand.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for not only second-generation Chinese who have Thai nationality but also first-generation Chinese who insist o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e Thai people’s competency in national assimilation according to the territorial principle of Thailand played the biggest role. Both generations accept marriage partne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Chinese or Thai, as long as they are engaged in commerce or have an earnest personality, which shows that they have the post-nationalist and universal perspective on outstanding figures.
목차
Ⅰ. 서 론
Ⅱ. 태국내 화교의 유입 배경
Ⅲ. 태국내 화교의 정착 과정
Ⅳ. 태국내 화교의 정착 양상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수출드라이버정책과 종합상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여성친화 경영의 국제 비교연구: 한·중·일을 중심으로
- 중국인의 가족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청도 거주자를 중심으로
- 소비자의 커피전문점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프랜차이즈와 독립점포 커피전문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사회적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가치일치성이 고객만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아름다운가게를 대상으로
- The Chinese Shadow Banking and the Effects on the Stock Market Movements
- 태국내 화교의 정착 양상에 대한 고찰: 태국 소설 『태국에서 온 편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