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Determinant Factors on Economic Growth under Open Macroeconom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성순(Seong Suhn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3권 제1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화의 흐름은 디지털 경제와 함께 최근 세계 경제 변화를 설명하는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세계화를 폐쇄경제에서 개방경제로의 이행 또는 개방도의 확대로 이해한다면 이것은 우리나라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오고 있는 세계 교역과 FDI의 확대, FTA 체결의 확대, 무역과 금융 규제의 완화 등 개방화 거시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개방화 거시경제 정책은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에 여러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화 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교역 확대를 통해 이득이 발생하고 자원배분을 효율화하며 결국 경제성장을 촉진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소득분배에도 영향을 미쳐 소득 불균등도를 완화하거나 심화시킨다고 보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창조 경제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복지제도 확대를 통해 커지고 있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소득격차를 줄여 소득 불균등도를 완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경하에 세계 각국과의 교류 확대를 통한 국제경쟁의 증진, 시장규제 완화와 신축성 제고 등 개방화 정책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찾아야하는 우리나라의 경제여건으로 볼 때 이러한 개방화 정책과 소득불균등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적절한 분배속에 지속적인 성장을 조화롭게 추구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특정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는 개방화 변수들과 국내여건, 소득불균등도 등을 고려하여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방법도 주로 고정효과, 확률효과 모형을 이용한 패널분석을 다루고 있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한국과 경제여건이 비슷한 OECD 국가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개방경제변수와 소득불균등도 등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벡터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장기 및 단기적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그 분석결과 장기적으로 실질실효환율의 평가절하가 경제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국내민간투자와 인적자본형성도 경제성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무역개방도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나 장기에는 부정적 효과로 나타났고 FDI가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질실효환율이 경제성장에 단기적으로 더욱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정부소비지출은 단기적으로만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성장을 저해하나 통화량 증가는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균등도는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개방화시대에 경제성장에 있어서 실질환율의 변화가 매우 중요하며, 또한 개방화의 확대보다 민간투자의 활성화가 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Globalization and digital economy are the main keyword which can explain the recent change in the world economy. Through the “creative economy” policy,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concentrated on economic growth and income distribution through globalization. Policy makers believe that openness facilitates the transmission of technology by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foreign counterparts and encourages firms to invent new and distinct ideas and technologies. Thus, they argue that capital liberaliz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could boost the economic growth in Korea.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macroeconomic variables and economic growth under open economy using the annual panel OECD data during 1985-2012. I employed the endogenous growth model concept using the growth accounting methodology by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ype. The econometric method I used is the panel regression estimation us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since there exists cointegration relation among the used variables even though each variable has unit root. Additionally, I examined the long run relationship as well as the short run through the VEC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aluation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the increase in private investment, and the accumulation of human capital can encourage the growth of per capita GDP by having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However, the increase of inward FDI and openness discourages the per capita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even thoug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rade openness and growth was found in the short run. Furthermore, income inequality may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per capita economic growth r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at appropriate foreign exchange rate policy and encouragement of private investment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openness policy to economic growth.
목차
Ⅰ. 序論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자료의 특성과 추정 결과
Ⅳ. 要約및 結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라시아 주요국가의 경제현황, 경제역량과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
- 몽골 주식시장의 Top-20 지수를 통한 시장 효율성 검증
- 사회적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유형화 사례 연구
- 위험요인을 고려한 농지연금 월지급금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다국적 기업의 조직문화·직무특성·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유럽의 사회적 경제 고용 현황과 지원 인프라
- 대한민국 전통문화산업 관련 법제도 고찰
- 감사인의 조세컨설팅 보수가 기업의 회계투명성에 미치는 영향
-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인구집단 구성과 경제적 불평등 평가
- Serbian Accession to the EU and CSDP Engagement: Crisis Management in Reworking
- 개방경제하에서 거시경제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우리나라 영업사원의 효과적인 영업행위와 관계지향적 영업행위에 관한 정성적 연구: 아주캐피탈의 자동차금융 영업사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근로장려세제가 수혜가구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 Mean Reversion or Momentum Trades? The VKOSPI Case Study
- 자산재평가 정보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
- 미술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게시물의 감성적 요소가 정보이용자의 호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