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내전기간 제38차 정기의회의 전시 재건논의와 갈등
이용수 20
- 영문명
- The States Right and the Thirteenth Amendment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저자명
- 양홍석(Hong-Seuk Yang)
- 간행물 정보
-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제70집, 153~1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제38차 연방의회(1863-1865) 회기 동안 특히 1864년을 전후하여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개혁논의 속에서 당시의 시대정신과 소명을 확인해보는 것이다. 이 시점에 대한 주된 역사 서술은 수정조항(수정헌법제13조)의 통과 준비와 그 성공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당시의 여러 공론장을 통해서 일어나고 있는 논쟁과 갈등은 여전히 해결될 수 없는 문제로 남아 있는 이 국가의 정체성과 주권(states Right)에 대한 격돌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한 세심한 고려와 분석이 없이는 수정조항의 비준과 실행으로 가는 그 험난하고 복잡한 노정은 이해하기 어렵다. 많은 제한과 조건이 붙었지만 유명한 1863년 노예해방령으로 가시적으로 성과(?)를 이뤘음에도 불구하고, 연방헌법에 수정조항을 각인하는 문제에 대통령이 머뭇거리고 있었던 이유도 주권에 대한 그의 고민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록 일시적인 기간이지만 왜 대통령이 이전까지 그렇게도 강조한 “국민주권론”에서 다시 “주권론”으로 한발 후퇴하게 된 이유를 설명해 볼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critical essay aims at the understanding the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and finally President Lincoln’s thinking about the Thirteenth Amendment.
President Issued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on January 1, 1863. and so all Confederate slaves but a few certain areas and borderlines states were freed. Therefore, so many black soldiers had taken part in battles such as Port Hudson and MilliKen’s Bend, Louisiana, and Fort Wagner, South Carolina. On December 8, Lincoln introduced so-called “Ten-Percent Plan of Reconstruction” and the Proclamation of Amnesty and Reconstruction.
All these great reform movements and the military reconstruction had great affected into black people in the Confederate areas. And the reform-mind Congress had visioned a ultimate settlement, the Thirteenth Amendment, which had been approved and ratified and in the finally added into the U. S. Constitution.
In the course of these increasingly added reform movements, I try to understand why President never accepted all the reform programs acquiescently and firstly in the very historic movement. why he taken more careful and extended observation about States Right, contrary to the past statements as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and Gettysburg Address.
목차
Ⅰ. 서론
Ⅱ. 1864년 미국 정치사의 이해
Ⅲ. 노동권, 주권 그리고 국민주권론
Ⅳ.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