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isk factors for low muscle mass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장현진(Hyeon Jin Jang) 심미소(Mi-So Shim)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23권 제1호, 21~2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Sarcopenia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mortality in older adults, and in the case of older women, the risk of sarcopenia increases rapidly due to hormonal changes after menop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low muscle ma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women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and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9th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657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aged 65 years and old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low muscle mass among older wom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a complex sample design analysis method was used. Results: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low muscle mass was 29.5%. According to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w muscle mass among older women were age (OR 1.07), smoking (OR 10.86), and protein intake (OR 0.99). In other words, the risk of low muscle mass in older women increases with older age, smoking, and low protein intak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risk factors for low muscle ma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To prevent and improve low muscle mass in older wom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tritional improvement and smoking interventions.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Acknowledgement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지역사회 거주 여성 노인의 근육량 감소 관련 요인
- 외과계 중환자실 입실 환자의 욕창 발생 감소를 위한 중재개발 및 예비적 효과성 검토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경험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간호 인력의 임금구조분석
- 원격간호(Telenursing)의 개념분석: Walker와 Avant 방법으로
-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사회적 지지, 피로 및 우울이 미치는 영향
- Anthropometric parameters as predictors of type II diabetes mellitus in class II to III obese pati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가상현실 기반 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아동 부모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