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권의 유혹: ‘만주국’ 시대 중국 동북 민중에 대한 일본의 경제적 약탈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Temptation of Lottery: Japan’s Economic Exploitation of the People of Northeast China during the “Manchurian” Period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이숙연(Shujuan Li) 마충흠(Zhongxin Ma)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42輯, 149~1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 동북 지역이 함락된 후, ‘만주국’ 정부는 재정난을 해소하고 식민통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복지혜택(福利惠民)’이라는 명의로 복권을 대량 발행하였다. 1932년 ‘만주국’ 정부는 ‘이재민구제(災民救濟)’라는 명목으로 복권을 발행하고 『복권조례(彩票條例)』를 공포하여 ‘만주국’ 복권의 기원을 열었다. 1937년 이후, ‘산업 개발 5년 계획(産業開發5年計劃)’ ‘북방진흥계획(北邊振興計劃)’ 등 ‘국책’이 등장하면서, 더 많은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하여, 일제는 복권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정하여 복권을 발행하였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만주국’ 정부는 복권의 종류를 늘리고 일부 당첨자에게 ‘만주저축채권(滿洲儲蓄債券)’을 사도록 강요하는 등 중국 동북 지역 민중의 재산을 마지막까지 소진시켰다. 일제가 발행한 복권은 중국 동북 지역 경제에 대한 약탈의 중요한 일환으로써, 하층민의 생활 보장 자금을 약탈하고 중국 동북 민중들에게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period of the fall of Northeast China, the “Manchurian” government issued many lotteries in the name of “welfare for the people” in order to solve financial difficulties and maintain colonial rule. In 1932, the “Manchukuo” government issued lotteries under the banner of “helping disaster victims” and issued the Lottery Regulations,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Manchukuo” lottery. After 1937, with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Policies” such as “Five-Year Industrial Development Plan” and “Northern Revitalization Plan”, the Japan imperialism continuously revised the lottery system and issued additional lotteries in order to obtain more financial support.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e “Manchurian” government greatly increased the types of lotteries, and forced some winners to buy “Manchurian savings bonds”. The people of Northeast China were plundered brutally. The lotteries issued by the Japan imperialism were important part of its economic plunder, which pillaged the living security funds of the people at the bottom and brought serious impact to the people in Northeast China.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복권: 민중 재산 수탈의 도구
Ⅲ. ‘만주국’ 복권 종류 및 판매 현황
Ⅳ. ‘만주국’ 복권의 위해성
Ⅴ.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