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리와 MBTI의 직업적성론 비교분석 - 명리의 격국(格局)과 MBTI의 4가지 심리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수  22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aju-Myungri Theory and MBTI Personality Type Theory in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Aptitude : focused on Gyeok guk in Saju-Myungri and four psychological functions in MBTI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김민숙(Min-sook Kim)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17집, 87~12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적성의 분석에 있어 명리학의 이론과 MBTI 성격유형 이론이 어떠한 공통점을 보이고,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명리학 이론은 五行 논리를 기반으로 사람의 운명을 분석하는 학문으로써 전통적으로 우리 생활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으며, 사람의 성격과 적성을 분석하는 영역에 있어 효과가 있음이 우리 사회에 많이 인식되고 있다. MBTI 성격유형 이론은 Carl Jung의 성격유형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성격유형검사로써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방식으로 성격과 직업적성을 검사하는 영역에 그 유용성을 인정받아 학교, 공공기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명리학과 MBTI 두 이론 모두 어느 정도 직업적성에 대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두 이론을 적용하여 직업적성을 분석하였을 때 두 분석이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보이는 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총 18개의 표본에 명리학의 경우 格局과 十星의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BTI 성격유형의 경우 4가지 심리기능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BTI 검사지와 명리학의 직업적성을 알아보기 위한 생년월일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총 20부를 배부하여 18부를 회수하였고, 그 가운데 생년월일의 시간이 정확하지 않은 표본과 생일의 음력인지 양력인지 명확하지 않는 표본을 제외한 총 12개의 표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각 표본은 의료 계통, 유아교육 계통, 공무원 계통, 부동산 영업 계통으로 총 4가지 직업군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공과 직업 선택에 있어 명리가 MBTI 보다 더 잘 부합되는 표본은 5개, 명리 보다 MBTI가 더 잘 부합되는 표본은 0개, 두 이론 모두 잘 부합되는 경우 및 두 이론이 전공 및 직업을 각각 잘 설명하는 표본이 6개, 두 이론 모두 전공 및 직업 선택의 근거를 잘 설명하지 못하는 표본이 1개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MBTI 4가지 심리기능 보다 명리학의 격국과 십성 이론이 직업 선택에 대한 근거를 분석함에 있어 더 적합하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공무원 계통종사자는 공무원 직업 특성상 안정적인 직업으로 분류되므로 다소 직업적성에 맞지 않더라도 이를 감수하고 직업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직업적성과 다른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은 명리학과 MBTI 이론을 각각 대입하여 직업적성을 분석하고 이를 비교해보았다. 표본의 크기를 생각했을 때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또한, 명리학에서는 격국(格局)과 십성(十星) 이론을 위주로 표본을 분석하였고, MBTI에서는 4가지 심리기능만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직업군과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명리학의 다양한 이론을 적용하고, MBTI에서도 4가지 심리기능과 함께 좀 더 다양한 기능을 도입하여 분석한다면, 명리학과 MBTI 이론으로 직업적성을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검증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aju-Myungri theory and MBTI theory . Saju-Myungri theory is based on O-Haeng logic and is traditionally used in analyzing a person’s fate and empirically perceived as useful in analyzing a person’s character and aptitude. MBTI theory is based on Carl Jung's personality typology and is affirmed as useful in analyzing the character and aptitude of people. It's used in firms, public institutions, schools and in other areas. Therefore, each of the two theories seeks to analyze occupational aptitude in a rational way. In this research, I will review similarities between Saju-Myungri theory and MBTI theory regarding analysis in relation to occupational aptitude. To do so, I analyzed 18 specimens. In Saju-Myungri theory, Gyeok guk and sip sung theory was used and in MBTI, 4 psychological function theory was used in the analysis. In this research, I performed 20 surveys, collected 18 of them, and selected 12 specimens according to accuracy of birth date and time. 12 specimens are classified into four occupations. Medical professionals,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officer, real estate sales professionals.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5 specimens, Saju-Myungri theory is more appropriate than MBTI theory. In 0 specimen, MBTI theory is better suited than Saju-Myungri theory. In 6 specimens, Saju-Myungri theory and MBTI theory both are appropriate. In 1 specimen, neither Saju-Myungri theory nor MBTI theory are appropriate. This result shows that Saju-Myungri theory is better suited than MBTI theory in providing evidence to conduct an analysis when selecting a job. In the public service area, those kind of jobs are regarded as stable, so there is some irrelevance between job and job aptitude as it is assumed that people choose to work in public service regardless of their job aptitude. In this thesis, I applied Saju-Myungri theory and MBTI theory to analyze and compare job aptitude. But the specimen sample was not large and the theories were only partially used. In Saju-Myungri theory, only Kyuk-guk and Sip-theory was used and in MBTI theory, only psychological function theory was used. To develop this subject more, future studies should utilize larger specimen samples and use other theories in Saju-Myungri theory and MBTI theor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명리학의 직업적성론
Ⅲ. MBTI의 직업적성론
Ⅳ. 명리와 MBTI의 직업적성 비교분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숙(Min-sook Kim). (2021).명리와 MBTI의 직업적성론 비교분석 - 명리의 격국(格局)과 MBTI의 4가지 심리기능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 (), 87-126

MLA

김민숙(Min-sook Kim). "명리와 MBTI의 직업적성론 비교분석 - 명리의 격국(格局)과 MBTI의 4가지 심리기능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 (2021): 87-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