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六壬의 結婚占斷에 대한 理論的 體系 硏究 - 『六壬大全』을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Marriage jeomdan of Yukim : Focusing on Yukimdeajeon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송상섭(Sang-sub Song)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17집, 2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육임은 일용백사의 인사에 두루 활용되며 특히 한 가지 사안의 길흉을 구체적으로 예측하는 학문이다. 이 학문이 발생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연구서가 편찬 되었는데 그 중에 하나가 明代(1368年∼1644年) 郭載騋에 의해 역대 육임서를 모아 편찬한 것이 『六壬大全』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육임의 결혼점단에 관한 구체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상담사례를 논하였다. 육임의 결혼점단은 陰陽五行說, 干支說, 東洋天文學에 바탕 이론을 두고 있다. 육임의 결혼점단에서는 음양오행설을 적용하여 남·녀의 궁합과 부부 금슬이 좋고 나쁨의 판단할 때 사용하는데 日干과 日支가 서로 生하면 길한 궁합이고 극하면 흉한 궁합으로 판단한다. 육임으로 사안의 구체적 길흉을 예측하고자 하면 먼저 천지반도와 과전도를 조식하여야 하며 천지반도와 과전도의 지반·천반·둔반은 모두 10干 12支로 표기하여 간지설을 적용한다. 신랑과 신부의 길흉과 운세는 사계절에 따른 旺·相·死·囚·休에 따라 좌우된다. 또한 육임점단에서는 東洋天文學에서 적용하는 28宿가 12支에 배속하는데 牛·女相會에서의 牛宿는 丑方에 배속하며 女宿는 子方에 배속된다. 과전도에서 子와 丑이 천반과 지반에서 서로 만나서 결혼이 이루어지는 이론은 육임에서 동양천문학 이론을 적용한 것으로 보여 진다.

영문 초록

Yukim is a philosophical science to be widely used with regard to personal affairs and to make predictions regarding good or bad luck with respect to certain circumstanc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science countless studies have now been published. Among them, there is 『Yukimdeajeon』, which was written by Gwak, Jae-Rae in the Ming(1368~1644) dynasty, who collected successive Yukim books. This paper aims to discuss cases based on concrete theories regarding Yukim's Marriagejeomdan. There were famous basic theories for Yukim's Marriagejeomdan outlined as follows: Eum-Yang and the Five Elements, Gangiseol and Oriental astronomy. Eum-Yang and the Five Elements were used to predict how good or bad a marital harmony or conjugal connection was. A good one meant that Ilgan or Ilgi was Sang, while a bad one meant Geuk. If Yukim was used to predict good or bad luck about a case, Cheonjubando or Gwajeondo should be drawn first. Jiban, Cheonban and Dunban of Cheonjubando or Gwajeondo were expressed as 10 Gans and 12 Jis, which were applied by Gangiseol. Luck or fortune of a groom and a bride depends on Wang, Sang, Sa, Su and Hue according to the four seasons. Yukimjeomdan had 28Sus applied to oriental astronomy, which belonged to 12Jis. Usu on U·Yeo Sanghwae belonged to Chukbang, whereas Yeosu did Jabang. A theory where Ja meets Chuk on Cheonban and Jiban in Gwajeondo for the wedding might be applied by Yukim's oriental astronomy.

목차

Ⅰ. 序 論
Ⅱ. 『六壬大全』의 편찬과 저자
Ⅲ. 『六壬大全』에서의 결혼점단의 이론적 체계
Ⅳ. 결혼점단의 상담사례
Ⅴ. 結 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상섭(Sang-sub Song). (2021).六壬의 結婚占斷에 대한 理論的 體系 硏究 - 『六壬大全』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 (), 23-49

MLA

송상섭(Sang-sub Song). "六壬의 結婚占斷에 대한 理論的 體系 硏究 - 『六壬大全』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 (2021): 2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