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A Window를 활용한 가을배추의 동태적 생산 효율성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Autumn Cabbage’s Dynamic Production Efficiency Change by Using DEA Window Model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한은수(Eunsu Han) 윤병삼(Byungsam Yoon) 서상택(Santaek Seo)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50권 3호, 503~5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hanges in production efficiency of Korean autumn cabbage by region using the DEA Window method. In addition, the efficiency distribution for efficient and inefficient farmers in the region was analyzed using the DEA model. As a result of the technical efficiency analysis, the overall average of windows in Gyeonggi and Chungbuk region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overall average of Chungnam and Gyeongbuk regions was relatively low. The technical efficiency trend between 2010 and 2021 was relatively stable and maintained above a certain level in Chungbuk compared with another relatively efficient Gyeonggi region. Among Chungnam and Gyeongbuk areas, where efficiency is relatively low, Chungnam has recently improved efficiency, but Gyeongbuk has been analyzed to be significantly lowe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 of inefficiency in the Gyeongbuk region through scale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the cause of inefficiency in Window 1 was in terms of production scale, and in the case of Window 7, it was in terms of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Chungbuk is considered a benchmarking area due to its relatively high efficiency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Gyeongbuk is relatively low in efficiency, so it seem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to minimize input costs and maximize outpu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분석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