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의 관점에서 역사 교과서를 보다 - 2015개정교육과정 역사 교과서 전근대 전쟁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고진아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28집,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쟁은 사회와 개인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므로 전쟁을 성찰하고 평화 감수성을 키우는 역사 수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역사 교과서는 전쟁을 당연한 일, 필연적인 일로 다루고 영웅과 전략 전술적인 측면에 집중하였으며 전쟁으로 고통당했던 사람들은 주변부로 소외시키는 서술로 비판받아왔다.
2015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역사 교과서의 전근대 전쟁 관련 서술을 분석한 결과 여전히 평화 감수성 함양으로 나아가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남성 지배층 위주의 서술은 계속되었고 민중들의 삶의 변화와 고통은 통계 속 숫자로만 제시되거나 ‘수많은 희생’이라는 뭉툭한 표현으로 서술되었다. 전쟁을 국가 발전의 서사로 서술하는 점, 직접적 폭력을 강조하고 이민족을 비인간화하는 서술 등의 문제도 지속되고 있다.
시행 예정인 2022교육과정 교과서의 전근대 전쟁 관련 서술은 다음과 같은 점이 반영되기를 바란다. 첫째, 전쟁의 성격, 목적, 의미, ‘전쟁을 막을 수 없었는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 둘째, 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집단, 행위자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전쟁과 폭력 상황이 ‘가장 약한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생각해볼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민중의 삶이 결국 민중 자신의 판단과 선택에 따른 결과라는 점이 드러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쟁과 인간을 단순화시키지 않아야 하며 신중한 용어와 이미지를 선택한다. 여섯째, 평화적 관점의 논쟁적 질문과 탐구가 조직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 역사교육에서 전쟁과 평화
Ⅱ. 역사과 2015개정교육과정의 전쟁 관련 내용과 성취 기준
Ⅲ. 전근대 전쟁 관련 서술
Ⅳ. 평화적 관점의 전근대 전쟁사 관련 서술 제안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