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옥천인의 해외독립운동과 선양사업의 과제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Overeseas Independence Movement by Okcheon People & Tasks of Enhancement Busines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박걸순(Gul-sun Park)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28집, 65~10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0년 11월 현재, 옥천 출신의 독립유공자는 51명이다. 이들을 운동계열별로 보면 3·1운동 참여자가 26명으로 절반이 넘고, 국내항일 9명, 의병 6명, 중국방면 3명, 의열투쟁과 학생운동 각 2명, 임시정부·만주방면·미주방면 각 1명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들 가운데 해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는 윤봉길 의거를 지원한 곽중규·곽중선 형제, 무장투쟁을 위해 둔전병 계획을 추진한 김규흥, 국내 의병에서 만주 독립군으로의 전환을 실증하는 김응선, 미주지역의 독립운동과 한인 언론을 주도한 김현구, 만주 독립군으로서 국내의열주쟁을 계획한 전좌한, 다양한 이념을 수용하여 불굴의 투쟁을 벌인 조동호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옥천의 독립운동사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시설은 영성하다. 옥천의 상징적 공간에 지역의 독립운동을 종합한 ‘옥천독립운동기념탑’(가칭)과, 국권회복운동을 상징하는 활동으로 1907년 국채보상운동과 1909년 문태수 의진의 이원역 폭파 의거를 기억하는 기념하는 기념물, 옥천의 3·1운동을 상징하는 이원과 청산의 만세운동 현장에 표지석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옥천의 독립운동가를 대표하는 인물인 전좌한과 김규흥의 행적에 시비가 제기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전좌한에 대해서는 이미 1980년 대부터 수차에 걸쳐 논란이 있었다. 김규흥에 대해서는 2016년 『宇都宮太郞日記』의 수록 내용 확인으로 행적에 문제가 제기되었고, 2019년 김규흥이 宇都宮太郞에게 보낸 편지가 새로 발굴되어 더욱 파장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내용이 사실이라면 기존의 김규흥 평가가 전면 부정당할 수도 있다. 차분하게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실을 입증하는 인고의 시간이 필요한 때이다. 만일 일제측 기록이 사실이라면 그럴 수밖에 없던 김규흥의 행적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of November 2020, there are a total of independence 51 fighters from Okcheon. Classifying them by different types of independent movements, more than half of them (26 people)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9 of them were part of the domestic anti-Japanese Movement, 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3 of them took par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2 in the Heroic Struggle, 2 in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s, and 1 each in the Provisional Governement Movement,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United States.
Among them, Independence fighters who worked abroad include the Kwak Joong-kyu & Kwak Jung-sun brothers(supported Yoon Bong-gil’s Bombing at Hongkou Park), Kim Gyu-heung(worked on the Independence Army Project), Kim Eung-sun(demonstrated the transition from the domestic righteous army to the Manchurian Independence Army), Kim Hyun-koo(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 Korean press/media in America), Jeon Jwa-han(planned the domestic Heroic Struggle as a part of the Manchurian Independence Army), and Jo Dong-ho(who led the indomitable Heroic Struggle by accepting & embracing different ideologies)
However, the facilities that help us remember and commemorate the history of Okcheon’s Independence Movement are poorly managed at this moment. There is a need to install an ‘Okcheon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Tower (tentative name)’ at a symbolic location of Okcheon, a commemorative monument to remember the 1907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nd the 1909 Bombing of Yiwon Station (Moon Tae-soo), and a memorial stone at the site of the ‘Manse Movement’ in Iwon and Chungsan, which represent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Okcheon.
It is quite disappointing that disputes have been raised over the activities of Jeon Jwa-han and Kim Gyu-heung, who are regarded by many as the major figures that represent the Independence Activists of Okcheon. There has already been some controversies over the life & activities of Jeon Jwa-han since the 1980s. As for Kim Gyu-heung, some problems were raised in 2016, after the discovery of the content written in 『宇都宮太郞日記』, and even more dispute have been raised since the letters that Kim Kyu-heung sent to 宇都宮太郞was found in 2019. If the content in those documents/letters are true, Kim Kyu-heung’s status and achievements as an independence fighter could be completely denied. Therefore, it is time to focus on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o prove the facts. If such historical records are proven to be true, we should reconsider our view on Kim Kyu-heung as a person and an independence fighter.
목차
Ⅰ. 머리말
Ⅱ. 옥천의 독립운동가 현황
Ⅲ. 옥천인의 해외독립운동
Ⅳ. 독립운동가와 사적지 선양사업의 과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