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건(Lee, Seung Geon) 정남용(Chung, Nam Y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1호, 101~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영역별 목표와 초등학교
에 적합한 진로활동의 활동별 내용을 토대로 14차시 분량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
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임의로 정하고 그 중 1개 반
21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선정,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7주간 프로그램
을 적용하였다. 진로발달 측정도구는 이종범(2005)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진로발달 검사 도구를 사
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수준을 높여주었다. 그리고 진로발달의 척도인 자아인식 척도, 학업․직업 탐색 척도, 진로
계획 척도의 수준을 높여주었고, 진로발달의 8개의 하위영역인 자아개념 인식, 대인관계 인식, 자
기특성 이해,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인식, 일과 자신․사회와의 관계 인식, 진로정보의 이해․활용, 의
사결정과정 이해, 진로계획과정 이해 영역의 수준을 높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
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6th graders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objectives
of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of career activities fit to
elementary school with total amount of 14 school hours.
Testing instrument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6th grade students, developed by
Lee(2005), were utiliz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s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the
study.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as raised by apply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urthermore, the level of three dimensions of the career development, which were
Self-awareness, Education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were enhanced.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저탄소 교육프로그램 개발
- 로봇교육을 통한 조작적 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 도출: 발명교육 내용표준을 중심으로
- 감성지능을 중심으로 최신 초등교육 이슈의 고찰을 통한 실과교육의 중요성 재조명 - 생명과학영역을 중심으로
-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수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의 21세기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교과 정보교육의 방향 탐색 1
- 예비 초등교사의 식습관 실태 및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발명교사의 직무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미디어 활용 농업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농업인식 및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의 실천 활동 내용 및 삽화 분석
- 위기청소년을 위한 원격교육기관의 원예 기반 진로교육 가능성 탐색
-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초등 발명교사들이 기대하는 초등 발명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