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고사성어 대조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ory-based idio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YING LIU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2호, 53~7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 중 고사성어 대조 연구LIU YING(Harbin Normal University)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살펴보면 한국과 중국은 지리상으로 인접해있어 수천 년 전부터 교류를 시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양국의 크고 작은 교류를 통해 중국의 한자어가 한국으로 전파되었다. 고사를표현하는 형식이 간결하고 독특한 언어형식인 고사성어(故事成語)도한자어의 일부분으로서 한국으로 전파되어 수천 년의 세월 동안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고사성어는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 온 결과로 한국과 중국의 일부 고사성어는 개념과 형식, 그리고 용법이 서로 상이하게 변하였다. 1992년 한 중양국이 수교하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점차 증가하였다. 한국사회생활에 많이 쓰이는 고사성어는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중요한학습 내용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in Korean)에도 거의 매번 고사성어가 출제되고 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의 고사성어는 중국어와 동일한 부분도많으나 유사하거나 상이한 부분도 있어 한국의 고사성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우선 한국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고사성어를 선정하기 위해 TOPIK 문제집(7회부터 33회까지), 한국의 중학교 한문교과서 및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를 조사하여 여기에 나타난 고사성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형식과 의미 두 가지 관점에서 한국의 고사성어와 중국어의 대응 형식을 대조하고, 한국의 고사성어와 중국의 고사성어 형식과 의미상의 차이와 그 차이가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조와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 고사성어를 가르칠 때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하얼빈사범대학교)주제어: 한국어(Korean Language), 의미(meaning), 형식(form), 고사성어(story-based idioms), 대조 분석(contrastive analysis)

영문 초록

The timewhen the Chinese characters began to be introduced to Koreacan be dated back to thousands of years ago, followed by theexport of idioms with their stories as an integrate part ofChinese characte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between the P.R.C and the R.O.K in 1992, South Korea hasreceived an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students who foundthemselves more and more frequently exposed to idioms andstories in their daily life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eseidioms and their stories is a must in the S-TOPIK. Important asit is, the Chinese are prone to confuse the meaning of theseidioms with their versions in China. This thesis, focused on idioms and their stories selected from theS-TOPIK (the 7th-the 33rd) and Chinese literature textbooks ofjunior high and senior high. The differences of the idioms andtheir st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form and meaning areanalyzed in this paper, and it provides Chinese students withinstructions and guidelines to follow in learning Korean. (HarbinNormal University)주제어: 한국어(Korean Language), 의미(meaning), 형식(form), 고사성어(story-based idioms), 대조 분석(comparative analysi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3. 한·중 고사성어 형식 대조 및 분석
4. 한·중 고사성어 의미 대조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YING LIU. (2014).한·중 고사성어 대조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1 (2), 53-78

MLA

YING LIU. "한·중 고사성어 대조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1.2(2014): 5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