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에 대한 연구 현황과 전망

이용수  10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North Korean KFL materials studie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강남욱(Namwook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2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재까지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재’를 다루고 있는 연구들을 다루면서, 이 연구가 이룬 성과들과 쟁점들, 앞으로 필요한 연구들에 대해 전망해 보았다. 또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연구가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공동으로 합의하거나 해결해야할 문제들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해 보았다. 연구 과정에서 먼저북한의 조선어 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을 먼저 언급하고,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교재들을 모아 일목요연하게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이어서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중요 선행 연구들의 내용과의의를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조선어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수행할수 있는 연구의 영역과 가능성,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고 남북 통합의 전망적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재론의 성장에도 일조할 것이기에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연구 성과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alt with some aspects and subjects about KFLmaterials in North Korea, especially current research status andperspectives in South Korea. For approaching this topic, to beginwith some main concepts and terms were introduced to understandthe context of North Korean KFL conditions. In thefollowing this study discussed important leading studies, thensuggested possibility and prospect of North Korean KFL materials.

목차

1. 서론
2. 연구를 위한 전제와 학술적 쟁점
3.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한 교재 체계
4. 연구 현황과 방향에 대한 검토
5.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남욱(Namwook Kang). (2014).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에 대한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언어문화학, 11 (2), 1-25

MLA

강남욱(Namwook Kang).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에 대한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언어문화학, 11.2(2014):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