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

이용수  62

영문명
Teaching Korean Speaking Strategies to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정다운(DaWoon Chung) 손다정(Da-jung So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3호, 169~1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이란 서로 다른 문화가 대면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 참여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실시하는 의사소통을 말한다. 의사소통에서 서로 다른 문화가 작용할 때 이문화에 대한 이해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할 수 없으면 갈등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문화의 작용으로 인해 갈등이 유발될 때 이를 극복하면서 성공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말하기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말하기 전략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를 ‘발견-지식 활성화-해석-조절’의 단계로 이해하고 말하기 전략은 특히 ‘조절’ 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조절’ 단계에서 학습자는 한국 문화에 맞추어 발화하거나 혹은 대화 상대자와 협상을 시도하는 말하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 사용 능력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도입-분석-설명-토론-적용-마무리’의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Korean speaking strategies to improve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when different cultu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communicat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basic cultural differences influe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an result in miscommunication or conflict in communication. Therefor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needed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is paper posits that speaking strategy education, which can be used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peak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understood as comprising the stages of “Discovery- Knowledge Activation-Interpretation-Adjustment.” Speaking strategies can be applied especially at the “Adjustment” stage, when Korean learners can use speak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Korean culture or by attempting to negotiate with their interlocutors. Based on the students’ ability to use speaking strategies, the teaching model of “Introduction- Analysis-Explanation-Discussion-Application-Finishing”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목차

1. 서론
2.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3.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전략
4.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다운(DaWoon Chung),손다정(Da-jung Son). (2020).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7 (3), 169-195

MLA

정다운(DaWoon Chung),손다정(Da-jung Son).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7.3(2020): 169-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