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상 소감에 나타난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문화적 차이
이용수 26
- 영문명
-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Korean and English Acceptance Speech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우보의(Boeui 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1호, 61~8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수상 소감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와 영어 수상 소감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각각 15개의 한국어와 영어 수상 소감 중 총 350개의 수상 소감 표현을 대상으로 수상 소감 표현 유형의 분포 차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와 영어의 수상 소감 표현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χ2 = 24.639, p < 0.01) 그리고 한국어와 영어의 수상 소감에 나타난 수상 소감 표현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어와 영어 수상 소감의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맥락 이론 그리고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문화적 차이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약속하기나 인사하기와 같은 간접 표현, 겸손 표현, 예절 표현을 사용하는 “고맥락 의사소통”의 집단주의 사회인 반면 영어권 국가 중 하나인 미국은 직접표현을 사용하는 “저맥락 의사소통”의 개인주의 사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별, 나이와 같은 사회적 요인과 수상 소감의 관계 분석 및 한국어 수상 소감의 통시적 분석을 추후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Korean and English acceptance speech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Specifically,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f 350 award acceptance expressions in 15 Korean and 15 English acceptance speeches,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s of award acceptance expressions by language (χ2 = 24.639, p < 0.01). The uses of award acceptance expressions in Korean and English acceptance speeches are then described. In addition, to explain the dis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cceptance speeche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ntext theor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Korea is a collectivist society with “high-context communication” that employs indirect, humble, and polite expressions such as making promises and offering greetings, whereas the US, an English-speaking country, is an individualistic society with “low-context communication” that uses direct expression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factors (e.g., gender and age) and Korean acceptance speeches and conduct a diachronic analysis of Korean acceptance speech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절차 및 자료
4.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 양상
- 한·중 이동사건의 어휘화 양상 대조 연구
- 베트남 국가 단위 한국어 평가 분석 연구 - 제 1회 대학 입학시험을 중심으로
- 한국인 대학생과 학문 목적 한국어학습자 간의 발표 전략 사용 양상 비교
- NER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직업명 연구 - 한국어교육과 인공지능인문학의 확장적 탐색
- 수상 소감에 나타난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문화적 차이
-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미주 지역 K-12 및 세종학당 교원을 대상으로
- 한국어 말하기 자동평가를 위한 발음 오류 분석 -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