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교육재정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쟁점과 중장기적 개선 검토
이용수 181
- 영문명
- A Study on Strategies for Ensuring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Fina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남수경(Sookyong Nam) 이희숙(Heesook Lee) 김훈호(Hoonho Kim) 이호준(Ho-jun Lee) 원세림(Serim Won)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제33권 제3호, 65~9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교육재정의 안정적 확충 수단으로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개선과 중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재정 현황과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쟁점을 검토하고, 단기・중장기 차원에서 고등교육재정의 법적·제도적 개선과 안정적 재원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가 ‘25년 말까지 3년 한시성을 가진다는 점과 특별회계로서 수입과 지출의 목적성이 명료하지 않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특별회계로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둘째,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재원 확충을 위하여 교육세분 재원의 확대와 중장기적으로 고등교육세로의 전환방안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개편과 연계하여 시・도 법정전출금과 정부 운용 기금의 일부를 대학까지 공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중·장기적 고등교육 공적 재원 확보 방안은 재원 분담 주체에 따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국가적 차원의 확보방안으로 고등교육재정교부금이나 미래교육기금의 신설과 미래인재육성 투자펀드 조성을, 고등교육 재원 다각화와 관련하여 법인세 기반 확보방안과 세액공제와 감면 기반 고등교육 투자 유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정책적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정부 계획 및 법률과의 연동과 고등교육 투자 확대의 근거로서 재정 지원과 교육성과 간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stable funding solutions for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Special Account for Higher and Lifelong Education Support. It evaluates the current scale of higher education funding and identifies issu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related to this Special Account. Additionally, it offers recommendation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to enhance higher education funding and outlines strategies for ensuring long-term financial stability in the sector.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pecial Account for Higher and Lifelong Education Support faces challenges regarding the stability, validity, and sustainability of its funding. Furthermore, the legal framework for securing these funds is insufficient. Second, potential funding solutions based on the Special Account include introducing a higher education tax and securing a portion of funds managed by the government. Third, long-term strategies for ensuring stable higher education funding involve establishing central government grants, creating new funds, and developing investment funds. Additionally, expanding local government investments and leveraging corporate taxes to either introduce a higher education tax or provide tax incentives could further encourage investment.
목차
Ⅰ. 서론
Ⅱ.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설치 배경과 운영 성과
Ⅲ.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쟁점
Ⅳ. 고등교육 공적 재원 확보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