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중심 거버넌스형 주거복지 공급체계 다양화방향 연구 - 화성시 공공임대 공급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8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iversification Direction of Regional Governance Based Housing Welfare Supply System - Based on the Hwaseong City Case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권세연(Se-Yun Kwon) 김상민(Sang-Min Kim)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2권 제3호 (통권 제65호), 109~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So far, the housing welfare policies in Korea have mainly focused on public rental housing through construction. The system centered on suppliers, based on mass construction,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housing for the people, but in some areas, there is a problem with vacant houses despite continuous recruitment of tenants, making it difficult to efficiently utilize resources. Whereas, there is a need for effective housing stabilization measures for workers who live in the area but are not residents, commuters from other areas for work, and college students or youths who need to move their residence and temporarily stay.
Therefore, in the aspect of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allocation criteria without relying on the existing rental housing tenant selection criteria and procedures, and to establish alternatives through a collaborative process involvi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entit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and the formation of governance.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Hwaseong city, an urban-rural comprehensive metropolitan city in the Korean capital area, and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housing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workers, university students and young government employees by forming a governance of various entities and successfully supplying a total of 769 units by collective contracts. Futhermore, it analyzed this model of demand-oriented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expanding it to other regions and reflecting it in a flexible supply syste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주거복지 전달체계와 거버넌스
Ⅲ. 지역특성과 거버넌스형 임대주택 공급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자기조직화지도를 이용한 일반산업단지 분양속도와 지역 경제 성장과의 특성 분석
- 지역별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마코프전환모형을 이용하여
- 민간투자사업 리스크의 단계별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창원특례시를 중심으로
- 부동산투자 의사결정에서 ESG요인의 영향분석 - 부동산간접투자를 중심으로
- 원주시 개발사업의 토지이용계획과 도시특성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기혼여성의 지역 생활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 지역중심 거버넌스형 주거복지 공급체계 다양화방향 연구 - 화성시 공공임대 공급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지방중소도시의 지역균형발전사업 중요도 평가 - 경남 진주시를 중심으로
- 고령자서비스결합주택의 공급체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연구 - 은퇴자마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