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Real Estate Intrinsic Characteristics on Auction Successful Price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nant Rights Protection System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손인영(In Young Son) 이호병(Ho Byung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3호,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지역 주택과 아파트 경매 물건을 이용하여 물건 특성 및 임차인 권리보호 제도 관련 변수가 경매부동산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데이터의 시간적 범위는 2017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로 설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 석을 이용하였다. 주택 관련 모형에는 총 17개 변수를 모형에 투입하였으며, 아파트 관련 모형에는 총 16개 모형이 투입되었다. 이는 아파트는 위반건축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석에 이용된 경매 관측치 수는 주택 321건, 아파트 396건이다.
임차인 권리보호제도가 있는 모형Ⅰ-2와 모형Ⅱ-2를 비교하면, 주택은 유찰횟수, 응찰수, 청구액, 감정가, 공유 지분여부, 선순위전세권 순서로 낙찰가율에 영향을 미치고, 아파트는 유찰횟수, 응찰수, 대항력임차인, 권리신고 여부, 건물면적, 매각기일 변경여부 순서로 낙찰가 율에 영향을 미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operty characteristics and tenant rights protection system variables on the auction real estate bid price rate by using housing and apartment auction items in Seoul area. The time range of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set from January 2017 to June 2021, and the analysis method w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17 variables were applied to the housing-related model, and a total of 16 models were applied to the apartment-related model.
Comparing the model I-2 and model II-2 with the tenant rights protection system, the housing affects the winning bid rat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bids, bids, claims, appraisers, share ownership, and senior lease rights.The apartment affects the winning bid rat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bids, the number of bids, the countervailing tenant, whether to declare the right, the building area, and whether to change the sale dat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Ⅲ. 자료 및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Image by Social Crime
- 시니어타운 일반특성 및 재정특성이 입주의향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한국의 주거복지 연구동향 분석
- 인구변화, 통화량증가와 지가변화의 인과성 분석
- 주거용 부동산 내재특성이 경매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 임차인 권리보호제도 특성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서울시 도시 중심성 변화 탐색
- 서울 오피스시장 평가지표 적합성 분석
- 부동산 서비스사업자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녹색건축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분석
- 관계인구 유입이 인구감소지역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주택가격에 따른 주택연금의 수혜에 대한 연구
- 부동산 중개보수 산정 시월·전세 전환 배율의 적용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집단별 주택점유형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