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업준비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취업성취욕구의 매개효과

이용수  57

영문명
The Effects of Job Applicants’ Major Satisfaction on Academic Self-Regulatory Efficacy :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ment Eagerness
발행기관
한국전산회계학회
저자명
황유정(Yu-Jeong Hwang)
간행물 정보
『전산회계연구』제22권 제2호, 63~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그 때 취업성취욕구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가설검증을 위하여 전산세무회계 자격증 취득프로그램 수강생 중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23.0으로 회귀분석을 실행하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만족도는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양(+)의 영향을 줄 때 취업성취욕구는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 전공만족도가 높은 대학생들은 전공과 관련 없는 취업교육프로그램에서도학업적 유능감을 보였다. 대학생들은 전공선택시 적성과 흥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졸업 후 모두 전공과 관련된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비교과프로그램에 비전공자의 적극적 참여와 함께 그성과를 바탕으로 취업지도를 하는 것이 취업의 가능성을 넓히는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취업교육프로그램에서 그 효과성을 극대화하려면 무엇보다 취업성취욕구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시도가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job applicants’ major satisfaction on their academic self-regulatory efficacy and whether the desire for employment eagerness has a mediating effect and provide implications. [Methodology] To test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non-majors among students in the computerized tax accounting certification program,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WIN 23.0,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with the Sobel test. [Findings] First,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ory efficacy. Second, when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self-regulatory efficacy, the desire for employment eager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 [Implications] College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showed academic competence even in job training programs unrelated to their majors. Not all college students choose jobs related to their majors after gradua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actively participating in job support program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nonmajors and providing job guidance based on their achievements will expand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programs, the desire for job achievement should be improved above all el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유정(Yu-Jeong Hwang). (2024).취업준비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취업성취욕구의 매개효과. 전산회계연구, 22 (2), 63-81

MLA

황유정(Yu-Jeong Hwang). "취업준비생의 전공만족도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취업성취욕구의 매개효과." 전산회계연구, 22.2(2024): 6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