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osition of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Five-Wies (五衛)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eaning of “Ing-Ja (仍資)” in the appointment letter of government office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유지영(Jiyoung Yu)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29號, 253~2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체아직(遞兒職)은 조선왕조 전 시기를 걸쳐 적용된 관직 운영의 방식이면서 녹봉 지급 제도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오위에 소속된 직함 대부분이 체아직으로 차용되고 있었고, 이는 『속대전(續大 典)』 병전(兵典) 오위(五衛) 조목에 명시되어 있다. 조선후기에는 유명무실해진 오위 소속의 군함을이용하여 문·무·기술직으로 임하는 일자리를 가진 자에게 임명장과 녹봉을 주는 체아직으로 운영하였고, 또 그 군함체아직을 이용하여 실직이 없는 문무 산관을 대우해 주기도 하였다. 『속대전』에 명시된 오위 소속 군함(軍啣)의 구성을 보면, 정3품 당하관인 상호군(上護軍)에서 종9품 부사용(副司勇)에이르기까지 그 총수가 3,236 자리가 되었다. 그 중 정3품 상호군 이하 정9품 사용에 이르기까지 정(正) 의 품계 320개 자리는 모두 원록체아직(原祿遞兒職)이었으며 대호군(종3품)부터 부사용(종9품)까지종(從)의 품계 1,064개 자리는 원록체아가 아닌 체아직(비원록체아직)이었다.
‘잉자(仍資)’란, 조선시대 관직 임명 문서인 고신(告身)의 발급연월일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작게 표기하는 소위 소자방서(小字傍書)에 나타나는 용어이다. 이 ‘잉자’가 표기된 고신은 공통적으로 오위 소속의 군함을 수여하는 내용으로 작성되어 있다. 그 표기 문구는 수여 받는 관원이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직사(職事)+잉자(仍資)’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소자방서의 ‘잉자’라는 용어는 오위의 군함수여 고신 가운데 특정한 범위에만 나타난다. 현전하는 고신을 분석하면 ‘잉자’가 표기된 고신은 곧원록체아로 운영되지 않는 군함, 즉 비원록체아직을 수여하는 경우에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반면 별다른 소자방서가 없거나 ‘잉자’가 아닌 다른 내용의 소자방서가 기재된 오위 군함 수여 고신은모두 원록체아로 운영되었던 군함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고신을 수여받은 자는 실제 녹봉을 지급 받았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녹패도 함께 남아 있는 경우가 종종 확인된다.
따라서 고신의 소자 방서에 표기된 ‘직사(職事)+잉자(仍資)’의 해석은 ‘이전 자급 그대로 자급함’이라고 하는 방식은 타당하지 않다. ‘잉자’는 조선시대 체아직 수여와 직접 연관된 제도적 용어이기 때문에 ‘아무개 직사에 잉자함’ 혹은 ‘아무개 직사로 인하여 군함직에 잉자함’과 같이 용어를 그대로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문 초록
The Che-a-jik(遞兒職) was a method of government office management applied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and a green salary payment system. By the late Joseon Dynasty, most of the titles belonging to Five-Wies(五衛) were still borrowed as Che-a-jik. This is stated in the Five-Wies (五衛) of Byeongjeon(兵典) of Sokdaejeon (續大典).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operated in the Che-a-jik(遞兒職) of giving letters of appointment and rust salary to civil servants, military officers, and those who had jobs in technical positions using the military titles of the Five-Wies(五衛). And the government also used it to treat civil servants who were temporarily out of service(San-Guan:散 官).
‘Ing-Ja(仍資)’ is a term that appears in the so-called ‘small letters on the side(So-Ja-Bang-Seo:小字 傍書)’, which is written in small letters on the left or right of the date of issuance of ‘letter of appointment to the government(Go-Sin:告身)’, a document on the appointment of government po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The Go-Sin with this ‘Ing-Ja(仍資)’ marked is commonly written about the award of warships belonging to Five-Wies. And the notation follows the form of “’function’(the actual performance of a government awardee)+’Ing-Ja’” that is actually carried out by the awarded official. The term ‘Ing-Ja’ in this small room appears only in a specific range among the Go-Sin of Five-Wie’s warship award.
Analyzing the current Go-Sin, it can be seen that the god marked with “Ing-Ja” appears only when a warship that is not operated under the Won-rok-Che-a-jik(原祿遞兒職), that is, when a non-Won-rok-Che-a-jik(非原祿遞兒職) is awarded. On the other hand, all the Go-Sin, which was awarded to the Five-Wie’s warship, which had no special small room or contained a small room other than “Ing-J”, were military titles that were operated as Won-rok-Che-a-jik. In addition, it is often confirmed that those who have been awarded this Go-Sin often have a rust plaque that proves that they have actually received a rust salary.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say that the interpretation of “‘function’+‘Ing-Ja’” indicated in Go-Sin's so-called “self-sufficiency as before” is not valid. In conclusion, since ‘Ing-Ja’ is an institutional term directly related to the award of Che-a-jik still in the Joseon Dynasty,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it in a way that exposes the term as it is, such as “Ing-Ja to a something function” or “Ing-Ja to a warship position due to a something fun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五衛
Ⅲ. 告身에 기재된 ‘仍資’의 의미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산학보 第129號 목차
- 침략전쟁 시기(1931~1945) 朝鮮 馬政計劃의 추이와 건마보국운동
- 唐宋史料筆記에 보이는 ⾼句麗 관련 기록 연구
- 세종대 풍수학에 대한 인식과 그 실상 - 세종 15년(1433) ‘풍수학’ 설치 과정을 중심으로
- 분청사기 가마의 연대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 조선후기 오위 군함체아직의 구성과 告身에 기재된 ‘仍資’의 의미
- 服齋 奇遵의 정치 활동과 己卯八賢으로서의 위상
-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④ - 桓仁 지역 돌무덤
- 고구려의 압록강 하류 진출과 방어체계 운용
- 북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확산과 그 배경 - 기후·금속문명·교류 관점에서
- 동심원 암각화의 제작 시기 및 상징성 고찰 - 영남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集安지역 고구려 세계문화유산의 정비 현황과 활용 실태
- 일제하 대만과 조선의 토지조사사업 비교연구 - 두 ‘사업’의 계승성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 부동산경매공고를 통해 본 경성의 일본인 토지소유자들 - 현 서울시 종로구 일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