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DEI)을 실천하기 위한 미국 대학 단위 한국어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 연구 - 웰슬리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82
- 영문명
- Cultivating Inclusive Language Learning: Integrating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to the KFL Program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은하(Eun Ha Hwang) 이선희(Su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5권 3호, 225~2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mplementation and outcomes of integrating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DEI) principles into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out the program, particularly in KFL context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discussion of DEI has recently emerg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earner diversity and inclusivenes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ffort to provide a comprehensive macro-level perspective on DEI across Korean language programs- This paper, therefore, offers concrete examples of how DEI can be effectively applied and practiced throughout an entire Korean language program focusing on three key areas within the program: 1)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2) Community-based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connected to diverse local and global communities, and 3) Utilization of pedagogical activities and digital tools grounded in the Multiliteracies Approach.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언어 교육과 DEI
3. DEI 실천을 위한 한국어 프로그램 운영 사례
4. 참여자 피드백과 발전 방향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 루브릭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평가 연구 - 요청화행 평가를 중심으로
-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DEI)을 실천하기 위한 미국 대학 단위 한국어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 연구 - 웰슬리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FGI 분석을 통한 세종학당 한국어교원의 역량에 대한 요구 분석 연구
- 한국어 이해 교육에서의 딕토뤄딩(Dictorauding) 적용 가능성 탐구 - 딕토글로스(Dictoglos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L2 학습자를 위한 전공 연계 글쓰기(WAC)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한국어교육학 전공 교수자 및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음절말 자음군 연음 발음 양상 및 특성
- 한국어교육 35권 3호 목차
- 쓰기 과제 수행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온라인 도구 활용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