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金昌翕 散文 批評의 實際

이용수  45

영문명
A Study on Kim, Chang-heup(金昌翕)'s Criticism of pros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저자명
안득용(Deuk-yong An)
간행물 정보
『동아한학연구』제7호, 69~111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金昌翕 「與宋玉汝」와 『史記』 비평을 통해 김창흡 散文 批評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6세기 중후반 이후 발생한 역사적 변화에 발맞춰 산문 비평에 어떠한 경향이 발생하였는가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밝혀내는 데 위 두 자료는 대단히 큰 의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토대로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與宋玉汝」를 중심으로 김창흡 산문비평의 지향을 분석하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성적 착상과 서술의 중시, 간략함의 추구, 구법의 변화를 통한 기세의 제고를 중시하였다. 아울러 상상력의 제한적 용인, 진솔한 감정의 표현 역시 작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이로써 볼 때, 김창흡의 산문 비평은 전통적 시각 위에 문학적 특색을 용인하는 시각까지도 포섭하였다는 데에서 찾아야 한다. 둘째, 『史記』 비평에서 찾을 수 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그것은 대지·강령에서부터 전체 맥락과 관련된 어휘 및 기세, 글자 등의 사용에 관련된 세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풍부하다는 점이다. 이로써 볼 때 이미 언급한 의의 외에도 「與宋玉汝」는 조선 문인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비평을 종합해 놓았으며, 『史記』 비평은 기존의 논의에서 한 걸음 더나아가 좀 더 구조적인 비평을 수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두 비평 자료는 안석경의 『?橋藝學錄』이나 후대 『經史註解』 등에 작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특히 『경사주해「與宋玉汝」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석이 『史記索隱』, 『史記正義』 등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책의 찬집자가 김창흡의 『史記?? 비평을 수용한 정도를 짐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보면 그간 시인으로만 주로 연구되었던 김창흡이 산문 비평에 있어서도 큰 안목을 갖춘 비평가였으며, 그 수준 역시 녹록치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report aims to research Kim, Chang-heup(金昌翕)’s criticism of prose through 〈To Song, ok-yeo(與宋玉汝)〉 and criticism of《A history(史記)》. The reason why I researched these books is these books have historical importance. With that resul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I came to know that Kim, Chang-heup put stress on individuality, briefness, force, imagination, and enhancement of feeling, through 〈To Song, ok-yeo(與宋玉汝)〉. In other words, he put stress on literary features. Second, I came to know that Kim, Chang-heup researched from theme to word minutely, through criticism of《A history(史記)》. In other words, he criticised text structurally. Finally, his critical thinking had a decisive effect on An, Seok-kyeong’s 《Sapkyo’s yeohaknok(?橋藝學錄)》, 《Annotation of Kyeongsa(經史註解)》, and so on. In the conclusion, we can give many meaning to his criticism of prose.

목차

1. 散文 選集의 증대와 산문 비평 다양화 및 그 배경
2.「與宋玉汝」와 산문 비평의 실제
3.『史記』비평과 산문 비평의 실제
4. 김창흡 산문 비평의 문학사적 위치 :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득용(Deuk-yong An). (2011).金昌翕 散文 批評의 實際. 동아한학연구, (), 69-111

MLA

안득용(Deuk-yong An). "金昌翕 散文 批評의 實際." 동아한학연구, (2011): 6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