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美’字의 形體 起源과 文化的 含義
이용수 10
- 영문명
- Shape Origin and Cultural Implication of Letter '美'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朴錫弘(Seok-hong Park)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2호, 175~1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說文解字』(이하 『설문』)를 비롯한 古今의 각종 문자 연구서들에서는 ‘美’자가 어떠한 형체에 근거하여 造字되었는가에 대해 그 견해가 분분하였다. 說文學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자형 분석에 있어서는 양의 뿔을 형상화한 ‘羊’이 ‘美’자의 일부분이라 여겨 왔으나, 갑골문과 금문 등 실증적인 문자 자료들이 발굴 또는 발견됨으로써 이 학설에 대한 회의가 대두되었다. 그렇지만 ‘美’자 자형의 기원에 관해서 명확한 근거의 제시와 이를 통한 심도 있는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재고의 여지가 충분히 있다 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은 ‘美’자에 대한 기존의 견해들을 살펴보고, 갑골문 및 금문 등의 관련 문자 자료에 근거하여 ‘美’자의 형체 기원 및 그 특징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그 근거의 탐색을 위해 ‘美’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해당 시기의 지하 출토 유물 자료들을 아울러 고찰해 봄으로써 ‘美’자의 형체 기원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美’자의 일부에는 ‘羊’이 형상화 되었다는 기존의 학설과는 달리 새의 깃털을 형상화 한 것이며, ‘美’자는 곧 새를 토템으로 하였던 고대 중국인의 문화적인 배경에 의해 제작된 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a variety of books and literatures on letters including 『Shuowenjiezi(說文解字)』, there is a different interpretation on which shape the Letter ‘美’ is based on. In the traditional analysis of letter shape which studied focused on 『Shuowenjiezi(說文解字)』, scholars considered that the Letter ‘美’ contained the Letter ‘羊’ which shaped a sheep’s horns. But, the empirical evidences on the letter such as Oracle Bone Script(甲骨文) and Bronze Script(金文) were excavated or found, and so this theory has been doubtful. However, it is the fact tha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presentation of clear evidence about the origin of the letter ‘美’, shape and no deep discussion on it.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rovement for it.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views about the letter ‘美’, and described the shape origin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 ‘美’ based on the related letter data such as Oracle Bone Script(甲骨文) and Bronze Script(金文). Also. the study searched several clues to the shape origin of the letter ‘美’ by studying the unearthed remains of corresponding period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letter ‘美’ for the search of its basis. It can be known that the feather of bird is shaped in the letter ‘美’, and ‘美’ is the letter made by the ancient Chinese people's cultural background which had a totem of bird, unlike the existing theory insisting that the letter ‘羊’ is shaped in the part of the letter ‘美’ through this process.
목차
Ⅰ. 머리글
Ⅱ. ‘美’字의 形體에 관한 기존 견해
Ⅲ. ‘美’字의 形體 고찰
Ⅳ. ‘美’字의 문화적 함의
Ⅴ. 맺는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 표현론적 관점에서 단어 형성의 한 특성: 남북한 경제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