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를 접목시킨 새로운 패러다임의 패션산업 현황
이용수 109
- 영문명
- Status of Fashion Industry in a New Paradigm Incorporating Metavers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하영(Hayoung Kim) 이승희(Seunghee Lee)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8권 제2호, 113~1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With a change in the digital landscape, fashion brands are achieving successful outcomes by implementing metaverse-base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As marketing strategies that leverage virtual reality and the metaverse are gaining significant atten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ses and effects of digital marketing integrated with the metaverse in fashion brands. This study aims to extend knowledge on the efficacy of metaverse fashion and its integration into fashion marketing based on relevant cases and research, while also exploring recent trends.
Methods: The study conducts a reflective analysis of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recent cases by schematizing and analyzing them. After analyzing brand cases utilizing adventure games and avatars within virtual reality, it categorizes brand cases related to meta-fashion to investigate the current scenario.
Results: The fashion industry continues to foray into the virtual reality realm, expanding beyond technology-driven marketing to introduce metaverse products Given consumers' perpetual quest for novel experiences and products, fashion brands adept at trends must cater to these needs. Collaboration with metaverse platforms or direct application development is imperative to enhance visibility with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Particularly, domestic fashion enterprises must release diverse content utilizing metaverse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while engaging in continuous 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an in-depth research on the efficacy of each case, as it selectively analyzes prior research and recently publicized cases. Nevertheless,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fashion brands seeking to comprehend relevant cases and embarking on content development endeavor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메타버스의 정의와 현황
Ⅲ. 메타버스를 접목한 패션 산업 현황
Ⅴ.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타버스를 접목시킨 새로운 패러다임의 패션산업 현황
- 유아기 모-자녀관계의 군집유형 분류 및 예언 변인
- 20대 한국인 남성과 미국인 남성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와 키높이 신발에 대한 태도 차이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8권 제2호 목차
- 서로 다른 추출방식이 블랙커런드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질병 적용관련 산재보험 정책의 확장과 개선을 위한 소고: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그린데이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식습관과 채식 메뉴 기호도
- 부모의 거부적 양육 태도가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 청소년에 대한 K-CBCL 6-18과 MMPI-A의 진단변별력: 아동복지시설 청소년을 대상으로
- 자아 진정성 추구는 진정성 브랜드에 대한 심리적 소유권을 어떻게 높이는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