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國 禮制 形成過程의 考古學的 檢討
이용수 140
- 영문명
- An archaeological review of the formation process of ritual system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임상택(Sangtaek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125호, 5~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 선사 및 상고 시기 문명 및 국가 형성 과정 연구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예제(禮制)에 주목하여 고고자료와 중국의 연구 성과를 섭렵하고, 예제의 성립과정을 고고학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예제가 국가 통치의 근간으로서 기능한 것이 중국 하상주(夏商周) 삼대 고대 문명의 특질이라 할 수 있으므로, 전 단계의 예제 형성과정을 고고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보편적 의례에서 출발한 예가 규범화⋅제도화 과정을 거치며 지위와 역할의 분별 기준으로서 예제화하고 국가 통치 시스템화 한 것이 중국 삼대 시기의 특징이다.
예제의 형성과정을 고고학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편의상 삼대 이전 신석기시대 중·만기 자료들 을 예제건축, 묘장과 인생(人牲), 예기(토기와 옥기)라는 물질문화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항축대지(夯築臺地)와 대형 건축물 축조, 관곽제 출현 및 유행, 대규모 인생과 순장의 등장, 비일상고급용기의발전, 예제성옥기의지역적발전및변화등삼대예제의성립과정을나타내 는 변화들이 고고자료 상에서 신석기시대 양사오문화(仰韶文化) 병행기부터 등장하지만, 규칙성, 반복성, 제한성, 보편성이라는 예제 성립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룽산문화(龍山文化) 단계부터임 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범주별로 살핀 고고자료들(특히 기물들)이 독립적인 발전궤적을 보인다 기보다는 하나의 기술적, 사회적 혁신이 다른 혁신을 자극하며 룽산시대 예제 성립과정을 가속화 시켰을 것이라는 점을 폭포 모델(cascade model)을 원용하여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contextual backdrop of research concerning the formation of civilization and nation in prehistoric and ancient China. The focus is specifically on the ritual system, with a thorough examination of archaeological findings and Chinese research outcomes. The archaeological exploration delves in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ritual system.
Ritual system, viewed as the cornerstone of national governance, is deemed a distinguishing trait of the ancient Chinese civilizations during the Xia, Shang and Zhou Dynasties. Hence, it's imperative to scrutinize the earlier stages of ritual formation archaeologically. Initially rooted in ritual, it underwent a progression towards standard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ultimately serving as a benchmark for social status and role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a governance framework-a hallmark of the Three Dynasties era in China.
To delve into the archaeological trajectory of ritual formation, materials from the middle and late Neolithic Age preceding the Three Dynasties were categorized into ritual architecture, tombs, human sacrifice, and ritual artifacts like pottery and jadeware. As a consequence, transformation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rammed earth foundations and large buildings, the rise and prevalence of tombs featuring double wooden coffins, the advent of human sacrifices and funeral rites, the evolution of exceptional high-quality earthenware, and the regional shifts and developments in jadeware emerged. While these changes began to manifest during the parallel period of the Yangshao Culture in the Neolithic A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became standardized and regularized starting from the Longshan Culture stage.
목차
Ⅰ. 머리말
Ⅱ. 禮와 禮制, 禮器
Ⅲ. 예제 형성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Ⅳ. 중국 예제 성립의 고고학적 평가와 과정적 이해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