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반복의 기능 분석
이용수 15
- 영문명
-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repetition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서희(Hee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3권 1호, 65~9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반복은 언어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대체로 비효율적, 잉여적인 존재로 취급되기 쉽다. 이에 학자들은 반복이 의미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고, 더 다양한 환경에서의 반복의 기능에 관하여 과제로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반복의 기능을 교수전략,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으로 나누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교실 이라는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대화를 녹음, 전사, 분석하였고, 초급교 실에서 발생한 반복의 기능을 교수전략, 학습전략, 의사소통전략으로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실제 초급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난 반복은 지시, 입력, 오류 지적이 교수전략으로 사용되었고, 발화내용부정, 자기수정, 시간벌기, 따라하기, 연습(내재화)는 학습전략으로, 구체화 요구, 발화유도, 강조, 확인, 맞장구, 타인수정, 동감, 동의는 의사소통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영문 초록
As a general phenomenon of language, repetition can be easily regarded as something inefficient and surplus. Therefore, scholars discovered that repetition has meaningful function and left a task about the function of repetition in more diverse environments.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classify the function of repetition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learning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o fulfill this, dialogues made in the classroom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ly occur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and the function of repetition in a beginner’s class was divided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learning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in terms of repetition in a real beginner’s Korean language class, instructing, entering and pointing out errors were used a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ancelling utterance, self-repair, gaining time (delaying tactic), repeating after and practicing (internalizing) were used as learning strategies, and asking for materialization, inducing utterance, emphasizing, checking, chiming in, other-repair, empathizing and agreeing were used as communication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반복 기능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