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Government Policy Changes on Recruitment of Foreign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률(Sang-Ryu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4권 1호, 195~2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관련된 정부정책의 변천과정 및 내용을 살펴보고 외국인 유학생을 직접 선발하고 가르친 경험을 토대로 정책의 효율성을 비판적 시각에서 조망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부정책을 크게 교육과학기술부와 법무부 그리고 문화관광부의 정책으로 구분 정리하여 각 정책의 변화와 정책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 수립과 개선방안 마련에 있어서 교육과학기술부와 법무부 그리고 대학 간의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 미비로 인해 정책의 효과를 최대화시키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Since 1999,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mprove several policies connected with recruitment of foreign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t information-sharing and 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ies. Especially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how to choose and care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caused many kinds of social problems such as illegal employment and leaving the university.
In this paper, I proposed that Universities should more carefully check the economic and scholastic ability of foreign students when they are recruiting foreign students. And after forming a foreign student recruiting alliance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Universities, they have to share information and improve relevant policies.
목차
1. 서론
2. 외국인 유학생 선발과정 현황
3.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부정책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분류사 선정에 관한 연구
- 부정성을 가진 부사의 호응 정보와 부사 어휘 제시 방안 - ‘전혀’와 ‘별로’를 대상으로
-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방안 연구
-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가 한국어 쓰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경남 지역어를 반영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 해라체 의문형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 어휘함수를 활용한 연어의 의미관계 기술 -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연어를 중심으로
- 한국어 읽기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
-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의 변천과정에 대한 소고
- 쓰기 이론과 쓰기 교육의 실제
- 한국어 자음동화 교육 연구 - 중국어, 일본어 모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