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Innovation Culture of SMEs on Millennial Generation’s Workplace Spirituality and Creativit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석원(Suk-Won Kim) 현창익(Chang-Ik Hyun) 이동명(Dong-Myung Le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7권 제2호, 51~8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영성의 선행요인으로서 조직의 혁신문화가 일 터영성과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리더의 신중함이 각각의 경 로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조직 내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지속적으로 증 가하여, 점차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가 조직에서 성과를 창출하고, 스스로를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조직문화의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고, 리더 행동 의 특성을 파악하여 조직이 만들어 나가야 할 풍토에 대한 올바른 방향이 무엇인지, 그리고 리더를 위한 교육과 선발과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조직문화 및 밀 레니얼 세대에 대한 관리 방안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조직의 혁신문화는 급진 적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영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혁신문화는 급진적 창의성과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인 일의 의미, 내면적 세계, 공동체 의식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영성 요인 중 내면적 세계와 공동체 의식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일터영성의 하 위요인 중 내면적 세계와 공동체 의식은 조직의 혁신문화가 창의성을 발현하는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신중함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지각은 혁신문화가 일터영성에 미 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으며, 일터영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 더와 조직은 밀레니얼 세대의 조직 구성원들이 일을 통해 충분한 성취감이나 자긍심을 느끼게 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일의 의미를 부여하며 일에 대 한 소명의식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 내재적 가치를 찾고 이해하도록 리 더는 인간적인 배려와 존중을 해야 하며, 조직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 극대화, 동료애와 애사심을 키우 기 위한 조직의 정책에 충분히 공감하여 함께 동참하도록 열린 경영을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밀레 니얼 세대의 조직 구성원들이 일터영성을 함양하여 조직성과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s innovation culture of SMEs on Millennial Generation’s workplace spirituality and creativity. And It was tri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s prudence on each path. The Millennial Generation continues to grow in organizations, and there is a generational shift. This study identifie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Millennial Generation to create desirable performance and motivate themselves. In addition, it identifies the traits of leader behavior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the climate the organization should create and for training and selection for leader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management of Millennial Generations are suggested.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organ- ization’s innovation cult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adical creativity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orkplace spirituality of Millennial Generations. The followings ar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organization’s innovation culture made positive effects on radical creativity and sense of meaningfulness, sense of inner life, sense of community, which are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Second, the sense of inner life and sense of community of Millennial Generation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radical and incremental creativity. In addition, the sense of inner life and the sense of community have a mediated effect of the organization’s innovation culture on creativity. Third, the perception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bout the prudence of the leader moderates the influence of innovation culture on workplace spirituality. It also moderates the influ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creativity.
Leaders and organizations need to make sure Millennial Generations have a sense of accomplishment or pride in their work. To do this, they define what they are doing, give meaning to their work, and feel their meaningfulness. In addition, leaders need to be considerate and respectful, so tha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find and understand their intrinsic value. And In addition, open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to maximize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o foster fellowship and loyalty. Open management is about empathizing with the organization’s policies and engaging with it.
It is hoped that through these studies,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can cultivate workplace spiritua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hat Are the Pricing Factors of ChiNext-Listings? Evidence from the high send turn Dividend Policy
- 비스마르크 동맹체제 연구: 유럽중심부 긴장요인의 세계 주변부 전환 외교전략을 중심으로
- 아시아 패러독스(Asia Paradox)를 넘어선 동북아 평화체제의 가능성: 일본의 역내역할과 한·일 협력 방향성 모색
- 식민시기를 통한 융합: 마카오, 고아, 대만, 한국을 중심으로
-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정부 지원정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rade Costs and Exports in Laos
- 야외 대중음악 축제의 다차원적 체험 요인과 재방문 의도 간의 관계에서 SNS 사진 공유 행동의 매개 역할 검증
- CSR 활동과 경영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영자 능력을 중심으로
- 중국인 아르바이트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응과 직무적응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혁신문화가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영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나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독일 기억문화의 유형과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기억문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