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on Stock Returns in Korea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이관영(Kaun Y. Lee) 김종찬(Jong-Chan Kim)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5권 제2호, 101~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단기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본시장에서 시장에 어떤 정보가 유입되었을 때 그 정보가 증권가격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자본시장의 정보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여 기업지배구조가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효과가 사회적 책임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지배구조와 단기적 주가수익률 사이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지배구조 결과가 공표되는 시점의 전후 주가수익률(Cumulative Abnormal Return)을 측정하고, 주가수익률이 기업지배구조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모형에서 기업지배구조가 주가수익률을 보다 잘 설명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즉, 사건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업지배구조의 신호효과를 검증하고, 기업지배구조와 단기적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업지배구조와 CSR이 이해관계자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있는 관계라는 점에 근거하여 CSR을 매개변수로 기업지배구조와 주식수익률의 차이에 미치는 간접효과 및 직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의 신호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지배구조의 신호효과에 대한 영향의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업지배구조 등급별, 점수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신호효과가 없거나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로 인해서 기업지배구조의 신호효과는 존재하지만, 좋은 기업지배구조 기업이 공표일 이후의 주식수익률이 더 높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의 경우 오히려 단기적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의사결정에서 지배구조가 고려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거나 혹은 자본시장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기업지배구조라는 정보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자본시장에 반영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업지배구조와 단기적 주가수익률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기업지배구조는 단기적 주가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책임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기업지배구조가 단기적 주가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aper investigates the rol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a mediator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short-term stock perform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efficienc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ormation regarding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is used to estimat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hort-term Stock Performance (measured by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he analysis using the SEM may explain the mediating effect of CSR in between CG and CAR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we took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measures the abnormal returns around the announc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evaluation. Second, to examine the signaling effect (or information effect), we compared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he announcement. Third, using the goodness of fit test, we measures how well the models with CSR explain better than models without. Finally, we analyze a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short-term stock returns. The result shows that the overall short-term stock return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rporate governance, but good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corporate governance itself is not considered as information for investment. Because of imperfect capital markets and informational asymmetry, corporate governance information is also inefficient; and as a result, the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hort-term stock returns, but have a positive indirect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자료, 가설 및 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관영(Kaun Y. Lee),김종찬(Jong-Chan Kim). (2018).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유라시아연구, 15 (2), 101-120

MLA

이관영(Kaun Y. Lee),김종찬(Jong-Chan Kim).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유라시아연구, 15.2(2018): 101-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