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bnormal Investment Activity of Firms and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신희정(Heejeong Shin) 최수영(Su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5권 제2호, 43~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비정상투자활동(abnormal investment)과 이익발표 후 주가잔류현상(post- earnings announcement drift)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비정상투자활동은 기업 의사결정의 비효율성을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투자자들이 미래이익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정보의 불확성을 가져오고, 궁극적으로 기업가치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회계이익 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과소반응으로 인해 나타나는 주가잔류현상이 기업의 비정상투자활동의 수준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기업의 비정상투자활동을 과잉투자와 과소투자로 구분하여 각 경우에 따라 주가잔류현상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기업을 대상으로 McNichols and Stubben (2008)의 비정상투자 측정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익발표 후 주가잔류현상의 크기는 비정상투자활동의 수준과 양의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기대이익에 대한 주가잔류현상은 기업의 비정상투자에 의해 대부분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의 비정상투자와 주가잔류현상 간의 양(+)의 관련성은 과잉투자(over-investment)와 과소투자(under-investment)로 구분하여 분석한 경우 과소투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업의 비정상투자활동은 경영자의 이익조정(earnings management)과 상호동시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과소투자에서 나타나는 주가잔류현상의 크기는 이익조정이 존재하는 표본에서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는 차별적으로 기업 내부 경영자의 비효율적인 투자활동이 정보 불투명성을 야기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정보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아울러 기업이 과소투자활동을 하는 경우에 정보의 불투명성 및 기업가치 평가오류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공헌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normal investment of firms and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hereafter, PEAD). Considering that firms’ abnormal investment activity would reflect manager’s inefficient decision making, we suggest that it relates to information uncertainty for firm valuation. Thus, we investigate whether PEAD phenomenon, which is explained by investor’s under-reaction to accounting earnings information,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the abnormal investment of firms. Further, given by previous studies that market’s reaction to over-investment and under-investment differs each other, we test the difference in effects of over-investment and under-investment on the magnitude of PEAD.
Using KSE-listed firms from 2003 to 2015, we find that the proxy for abnormal investment, measured by using McNichols and Stubben(2008) model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gnitude of PEAD on unexpected earnings. Notably, the PEAD occurs only when managers engage abnormal investment activity and also this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firms with under-investment, not for firms with over-investment. This means that stock prices response is more inefficient for earnings information of firms with under-investment than over-investment, implying that investors do not cope efficiently with information uncertainty due to manager’s under-investment activity. Additionally, provided by previous studies that managers’ abnormal investment activity and earnings management is mostly simultaneous, we test our hypothesis using sub-samples splited into upward- and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under-investment and PEAD exists for firms with upward earnings management. Our study discriminates from previous literature on PEAD in that we present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firms’ internal factor such as manager’s inefficient investment decision making brings about information uncertainty and consequently has a influence on PEAD. Moreove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the consequences of firms’ abnormal investment, showing that managers’ under-investment is likely to cause the information uncertainty and lead investors to mispric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및 표본의 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TPP 가입철회에 따른 동아시아 주변 국가 영향 분석
- 중국의 ICT 산업이 거시경제 및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조직 변화가 조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n Mongolian Construction Companies
- 행정자료를 이용한 프로그램비 지출이 가정외보호 10-13세 아동의 발달성과에 미친 효과
- 기업의 비정상투자활동과 이익발표 후 주가잔류현상
-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 스폰서십 개념 정립에 관한 정성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