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Personality Traits, Job Attitude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이건행(Kun-Haeng Lee) 김흥길(Hung-Gil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4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상관리 행동의 독립변수인 성격특성과 직무태도 그리고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의 구조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안경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5년 9월부터 2016년 3월까지 2차에 걸쳐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259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응답자의 성별 구성은 남자 175명(67.6%)과 여자 84명(32.4%)이었고, 연령은 20대 57명(22%)과 30대 137명(52.9%)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기혼자 112명(43.2%), 미혼자 147명(56.8%)으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는 정규직이 222명(85.7%)로 비정규직37명(14.3%)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의 친화적, 성실성, 외향적, 개방적인 특성이 직무태도에 (+)의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의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개방적 특성이 인상관리 행동 의견동조, 호의제공, 합리성, 이익교환에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에 대한 가족적 정서적 애착과 소속감, 의욕적이고 긍정적인 직무태도는 의견동조, 호의제공, 합리성과 이익교환의 인상관리 행동에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성격특성이 상사의 업무지시에 잘 경청하며, 칭찬도 많이 받고, 성취감과 인사고과에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 직무만족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에 대한 가족적 정서적 애착과 소속감, 의욕적이고 긍정적인 직무태도는 직장상사의 업무지시에 잘 경청하며, 칭찬도 많이 받고, 성취감과 인사고과에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견동조, 호의제공, 합리성, 이익교환의 인상관리 행동이 칭찬도 많이 받고, 성취감과 인사고과에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직무만족에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안경사의 인상관리 행동이 독립변수인 성격특성과 직무태도, 그리고 종속변수인 직무 만족 간에 어떤 매개 작용을 하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 분석을 통하여 조직 내에 이직율 감소와 안경업 분야에 있어서 직원의 직무만족과 고객만족 전략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attitude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distributed to 300 workers from September, 2015 to March, 2016, and analyzed the 259 questionnaires collected. The gender composition of this study was 175 males(67.6%) and 84 females(32.4%). Age was the highest in 20s, 57persons(22%), and 30s and 137persons(52.9%). The marital status was 112 persons(43.2%) married and 147 persons(56.8%) single. The number of regular employees was 222 persons(85.7%),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37 persons(14.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of the personality traits had a significant (+) effect on job attitude. Second, the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of the personality traits had a significant (+) effect on th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opinion confirmity, rendering favoring, rationality, and exchange. Third, family emotional attachment and belonging, motivated and positive job attitude had a significant (+) effect on th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opinion confirmity, rendering favoring, rationality, and exchange. Fourth, the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of the personality traits showed a significant (+) effect on job satisfaction, listening well to supervisor’s job instructions, receiving a lot of praise, receiving fair treatment fo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job satisfaction. Fifth, family emotional attachment and belonging, motivated and positive job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 effect on job satisfaction, listening well to supervisor’s job instructions, receiving a lot of praise, receiving fair treatment for sense of accomplishment. Finally, th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opinion confirmity, rendering favoring, rationality, and exchange showed a significant (+) effect on job satisfaction, listening well to supervisor’s job instructions, receiving a lot of praise, receiving fair treatment for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of the optician are the mediating rol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personality trait, job attitude, and the 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turnover rate in the organiz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trategy of the employees in the field of eyeg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