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운동 활동이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인력의 인식도와 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3
- 영문명
- The Impact of Prior Experience with Psychomotorik Activities on the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After-school Activity Service Providers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독심리운동학회
- 저자명
- 홍세화(Se-Hwa Hong) 박규호(Gyu-Ho Park)
- 간행물 정보
- 『심리운동연구』제10권 제2호, 27~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인력을 대상으로 심리운동 활동을 통해 인식도와 적용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인력 3명을 대상으로 심리운동 활동 전·후로 인식도와 적용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심리운동 활동은 기본 이론과 구체적인 실습으로 이루어졌고, 총 8회기 진행했다. 인식도와 적용도 설문지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 인식도는 사전 평균 3.2점, 사후 평균 5.6점으로 2.4점 향상되었고, 적용도는 사전 3.4점, 사후 6.4점으로 3점 향상되었다. 특히, 인식도 문항 중 ‘자아개념 형성’, 적용도 문항 중 ‘이용자의 욕구 반영’이 가장 높은 점수 향상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심리운동 활동을 경험해 보는 것이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인력에게 인식 및 적용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llow after-school activity service providers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xperience psychomotorik activities in advance, and then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ir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psychomotorik activiti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hree after-school activity teachers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ther to see if there was any changes in their awareness and application after psychomotorik experience. The psychomotorik activity consisted of basic theory classes and specific practice, and was conducted a total of 8 time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 and post-results of the awareness and application survey, awareness improved by 2.4 points with an average pre-score of 3.2 points and an average post-score of 5.6 points, and the application level also improved by 3 points with a pre-score of 3.4 points and a post-score of 6.4 points. In particular, awareness of ‘self-concept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reflection of user needs’ showed the highest score improve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ior experience in psychomotorik activ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psychomotorik activities of after-school activity service providers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ed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동조절장애의 개관과 임상적 특성에 대한 검토
- 심리운동연구 제10권 제2호 목차
- 심리운동과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동화통합 연구
- 성인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숲심리운동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심리운동 활동이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제공인력의 인식도와 적용도에 미치는 영향
- 발달지연유아의 심리운동 치료 사례 연구
- 품행장애의 ‘제한된 친사회적 정서’ 명시자 기준에 대한 검토
- 현대사회의 신체 지위에 대한 고찰
- 외향성과 산림치유프로그램 유형이 중학생의 스트룹과 사회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서비스 지원방안으로서 심리운동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