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랑이 민화의 상징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Symbol of Tiger Minhwa(Folk Painting) and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김현정(Hyeon-jeong Kim) 김덕환(Duk-hwan Kim)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20권 제3호, 175~19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정보화시대에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과 한류 문화의 확산에 힘입어 민화의 장식적인 표현이나 상징성은 관련 연구자들로부터 새로운 주목을 받게 되었다.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환경 속에서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발달하여 사용된 소재와 구성요소만으로도 한류 문화콘텐츠로서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고도 남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인의 정서와 한국의 이미지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동물의 하나로서 호랑이의 상징성과 그것을 도상으로 묘사하여 민중의 여망을 표현한 호랑이 민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지금까지 호랑이 민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한국화로서 조형적 특성과 가치, 민속예술로서 민속적 의미와 상징성 등을 규명하는 데 집중되어왔는데, 본고에서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심리적·종교적·예술적 측면에서 호랑이 민화의 상징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세계적인경쟁력을 갖춘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문화상품 개발과 한류 문화콘텐츠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민화에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 그림에는 민화 특유의 해학성이 잘 나타나 있으면서 우리 겨레의 심성이 잘 표현되어 있으며, 그러한 가운데 그것은 민중들의 기복과 벽사 사상을 반영하고, 신의 정령을 상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랑이 민화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K-culture로서 국제적인 행사용 마스코트와 한류 캐릭터, 생활문화상품으로 개발하고, 현대미술과의 융합을 통한 문화예술산업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에 앞서 신인 작가들의 발굴과 전시 플랫폼 구축, 정보의 체계화 작업 등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the spread of Hallyu culture in the recent information age, the decorative expression and symbolism of folk paintings have attracted new attention from related researchers. This is because materials and components developed and used based on various themes in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sufficiently recognized for their value as Hallyu cultural contents. Therefore, in this paper, as one of the animals that best reflect Korean sentiment and Korean image, tiger folk paintings that express the symbolism of tigers and people's expectations by depicting them as iconography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Until now, research on tiger folk paintings has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values as Korean paintings, and folk meanings and symbols as folk arts. This paper went one step further and sought ways to develop original and differentiated cultural products with global competitiveness and utilize them as Hallyu cultural contents by modernly reinterpreting the symbolism of tiger folk paintings in psychological, religious, and artistic aspects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tiger paintings, which frequently appear in folk paintings, show the unique humor of folk paintings and express the spirit of our people, and among them, it was found to reflect the ups and downs of the people and symbolize the spirit of mountain god. In order to utilize tiger folk paintings as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proposed that K-culture be developed as international event mascots, Korean Wave characters, and living cultural products, and used as a cultural and artistic industry through convergence with modern art. However, prior to these proposals, discovering new artists, establishing an exhibition platform, and organizing information must be preceded.

목차

Ⅰ. 서론
Ⅱ. 호랑이 민화의 상징
Ⅲ.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Hyeon-jeong Kim),김덕환(Duk-hwan Kim). (2023).호랑이 민화의 상징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유라시아연구, 20 (3), 175-193

MLA

김현정(Hyeon-jeong Kim),김덕환(Duk-hwan Kim). "호랑이 민화의 상징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유라시아연구, 20.3(2023): 175-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