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ree Love in Korean and Vietnamese Modern Novels: In the case of Lee Kwang-Soo’s Mujeong and Hoang Ngoc Phach’s To Tam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류티씽(Thi Sinh Luu)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0권 제3호, 157~1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과 베트남 근대문학의 대표 작품인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1917)과 호앙응옥 파익의 장편소설 <또 떰 Tố Tâm>(1925)을 대비・연구함으로써 양국 근대소설에 그려진 자유연애 양상을 조명하였다. 당시 한국과 베트남의 지식인들은 근대화 과정에서 자기반성의 일환으로 민족개조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국가의 기본 단위인 가정에 집중하였다. 그들은 특히 부부간의 존중과 사랑에 대해 관심을갖고, 신(新)가정 만들기와 자유연애 사상을 주장하였다. <무정>과 <또 떰>은 한국과 베트남의 근대문학을 대표하는 장편소설들로서, 공통적으로 유교적 혼인 폐습에 대한 비판과 자유연애에 대한 지향성을 보여준다. 이광수는 <무정>에서 주인공의 발화를 통해 기존의혼인 제도를 ‘흉악한 혼인제도’로 직접적으로 비판하며 일부일처제를 주장하였다. <또 떰>은 신교육을 받은남녀 주인공이 각자의 정혼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고 자유연애를 즐기다가 결별 후 결국 여주인공이 죽는 결말을 보여준다. 호앙 응옥 파익은 결별과 죽음으로 인한 비극과 슬픔의 정서를 한껏 표현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구식(舊式) 혼인제도의 악습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ompares Mujeong (1917), a representative work by Lee Kwang-Soo, and To Tam (1925), a work by Hoang Ngoc Phach. This study focuses on how Korean and Vietnamese authors depict free love in modern novels. Intellectuals in Korea and Vietnam felt the need to 'reform the country' in modernizing the country and valuing the family, the country's basic unit. They were concerned with respect and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spread the idea of creating a modernized family and free love.
Mujeong and To Tam are typical novels in modern Korean and Vietnamese literature, expressing criticism of traditional marriage customs based on Confucianism and supporting the ideology of free love. In the novel Mujeong, Lee Kwang-Soo strongly criticizes the current marriage system as a 'cruel marriage system' through the main character's dialogue and argues that monogamy should be the social norm. In the work To Tam,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all have modern education and have their parents choose their betrothed. Instead, they fall in love, engaging in a 'free love' relationship. Sadly, they get separated, and the heroine eventually dies. Hoang Ngoc Phach raises questions for readers about the evil customs of the marriage system by fully expressing the emotions of tragedy and sadness caused by separation and death in his novel.
목차
Ⅰ. 서론
Ⅱ.한국과 베트남 근대시기에 펼쳐진 자유연애 담론
Ⅲ. 한국과 베트남 근대소설에 나타난 자유연애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중 반려동물 문화 비교 분석
- 한국과 베트남 근대소설에 나타난 자유연애에 관한 연구
- 호랑이 민화의 상징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대독일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ESG 관련 소비자 특성이 ESG 경영기업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산업내 경쟁 및 현금흐름이 기업의 투자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국제무역 비즈니스의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 아세안의 라오쯔하오(老字号) 성장과 경쟁력 분석
- 필리핀 화교기업, JG 서밋에 관한 연구
- Competitiveness-Building Strategy for Becoming a Long-Lasting Brand: The History of Boon Rawd Brewery in Thailand
- Dependence Risk of Bank Equity Returns: A Vine Copula Approach
- An Analysis of Growth and Competitiveness for Laozihao in ASEAN: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Yeo Hiap Seng”: A Hundred year Family Enterprise
- 온전한 자치경찰제로의 이원화 담론과 자율방범대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