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캐릭터 비교

이용수  8

영문명
Comparison of Drama Characters i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Weiland’s Character Arc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석문정(Wenting Shi) 신형덕(Hyung-Deok Shin)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9권 제1호, 93~10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양한 한류 콘텐츠가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게 되면서 한류 드라마가 가진 스토리 전개의 특성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드라마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주연 및 조연의 캐릭터는 드라마 전개의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eiland(2016)가 제시한 캐릭터 아크의 개념을 사용하여 2019년에 인기를 얻은 한국 드라마 10편에서 등장하는 주연 및 조연 캐릭터를 분석하고, 이를 동일한 조건의 중국 드라마 10편과 비교하여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시청자가 가진 캐릭터 호감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캐릭터 아크 개념은 드라마 등장인물의 캐릭터가 드라마의 전편에 걸쳐 고정적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을 여러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즉 드라마의 초반, 중반, 종반에 걸쳐 등장 인물이 진실 또는 거짓된 사실을 수용하는 여부에 따라 (1) 긍정적 변화, (2) 저항, (3) 탈바꿈, (4) 몰락, (5) 부패의 다섯 유형의 변화 과정으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이 모형은 기존의 단순한 고정적 캐릭터 개념이나 또는 입체적이지만 여전히 고정적인 캐릭터 개념과 비교하여 등장 인물의 변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드라마를 역동적으로 이끄는 유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에 한국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드라마들과 중국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드라마들의 캐릭터 아크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 시청자가 호감을 갖는 유형을 파악하는 것을 시도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연의 경우, 중국 드라마에서는 저항 유형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한국 드라마에서는 긍정적 변화/저항/탈바꿈 유형으로 분산된 경향을 보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에 비해 한국 드라마 시청자들은 더욱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캐릭터 유형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조연의 경우, 중국 드라마에서는 긍정적 변화 유형과 저항 유형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한국 드라마에서는 모든 유형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고, 특히 긍정적 변화 유형보다 부정적 변화 유형(탈바꿈/몰락/부패)이 더 지배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 드라마에서의 조연이 드라마의 전개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긴장을 조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캐릭터 아크 모형을 통해 분석한 한국의 인기 드라마들은 중국의 인기 드라마들에 비해 복잡하고 부정적 변화의 양상을 띠고 있었고 이것이 어쩌면 성공적인 한류 문화 콘텐츠의 특성을 적어도 일부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영문 초록

As Han-Ryu(Korean Wave) contents are taking more and more attention, idiosyncratic features of Han-Rue drama are also being of interest. Especially, main and sub characters who lead storytelling of drama should be very important elements. Using Weiland(2017)’s Character Arc’s concept, this study investigated main and sub characters of the top ten dramas in 2019 in Korea and China, and compared to see if people in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favors on drama choice. The concept of character arc is that personal characters in drama are not fixed but changing over time and can be sorted into several types. That means, a specific persons’ arc character can be categorized in (1) positive change arc, (2) flat arc, (3) disillusionment arc, (4) fall arc and (5) corrupt arc, according to how the character is changing ov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ot points in the drama. This character arc model suggests dynamic character types comapred to simple fixed character or even complex but still fixed character types. Comparing most favored dramas in Korea and China in the lens of character acr, this study tried to find what type of character arc was most popular in each country and found two things. First, for main characters, dramas in China showed that flat arc type was solely dominant, while dramas in Korea showed no single dominant type but positive change arc, flat arc, and disillusionment arc types were comparatively evenly distributed. This means that Koreans favor more changing and dynamic characters in drama watching. Second, for sub characters, dramas in China showed dominance of positive change arc and flat arc types, while dramas in Korea showed negative change types(disillusionment arc, fall arc, or corrupt arc types) were more popular than positive or flat arc types. This implies sub characters in Korean dramas creates higher level of tension in developing drama’s story development. In conclusion, character arc analysis on Korean and Chinese dramas tells us that Koreans dramas are more complex and even negative change streams compared to Chinese ones, and this may explain at lease a part of many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Han-Ryu cultural contents.

목차

Ⅰ. 서 론
Ⅱ. 캐릭터 유형
Ⅲ. 캐릭터 아크 모형
Ⅳ. 사례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문정(Wenting Shi),신형덕(Hyung-Deok Shin). (2022).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캐릭터 비교. 유라시아연구, 19 (1), 93-107

MLA

석문정(Wenting Shi),신형덕(Hyung-Deok Shin).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캐릭터 비교." 유라시아연구, 19.1(2022): 93-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