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netary Policy Effectiveness in China: Evidence from a Structural VAR Model
이용수 2
- 영문명
- Monetary Policy Effectiveness in China: Evidence from a Structural VAR Model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이호(Hao Li) 이기성(Ki-Seong Le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9권 제1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물경제에 대한 통화정책의 파급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VAR 모형을 토대로 200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중국의 금융 및 실물 거시경제변수에 대한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국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분석기간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통화정책의 파급효과 변화 여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금리의 상승충격에 대하여 산업생산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지속해서 장기간 부(-)의 영향을 보이며, 소비자물가는 전후 모두 상승하여 가격 퍼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통화량은 감소하고 위안화 환율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의 상승충격에 대하여 주가지수는 경제이론의 예측과 같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화량의 상승충격에 대하여 산업생산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상반된 모습을 보이며, 소비자물가에는 단기적으로 정(+)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안화 환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주가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상반된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통화정책에 대한 일부 거시경제변수들의 반응이 경제이론에서의 예측과 달리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계적 유의성도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통화정책의 유효성과 파급효과가 상당히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와 효과는 일명 블랙박스(black box)와 같기 때문에 금융시장의 상황이나 거시경제 여건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즉,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와 효과는 완벽하게 작동되는 것이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통화정책의 효과가 실물부문에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상당한 시차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중국은 통화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현재의 경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정책을 전개해야 한다. 더 나아가 금융자원 배분의 효율성 제고와 금융시장이 구조조정 및 리스크 방지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금융시장 시스템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influence channel of monetary policies on the real economy. Based on the structural VAR model, this study uses the monthly data from the Chinese financial sector and actual macroeconomic variable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20 to analyze the influence channel of monetary policy and its impact on the real economy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Focusing on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study elaborates on the transmission effects of monetary policy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impact of rising interest rat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dustrial production continued to be negatively affected for a long time and consumer prices continued to increase during this period leading to price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money supply and the RMB exchange rate decreased. Due to the shock of rising interest rates, stock indexes have fallen as predicted according to the economic theories.
Moreover, because of the shock of rising interest rate, higher money supply, industrial production situation was unexpected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led to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rices in the short-term. The change of RMB exchange rate was not obvious statistically, bu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During this period, stock indexes was the opposite of expectation.
The impact of some macroeconomic variables on monetary policy can be seen as different from predictions based on economic theories and it doesn’t have much statistical significance, indicating the lack of effectiveness and transmission effect of monetary policy.
The influence channel and effects of monetary policies are similar to the black box. Inevitably there will be changes in the financial markets and the real economy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ditions. It also means the influence channel and effects of monetary policy don’t play a vital role. It takes a long time for monetary policies to affect the real economy. Therefore, to maximize the effect of monetary policies,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and implement the policies. Furthermore, it is vital to actively improve the financial market system. Hence,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financial resource allocation and enable the financial market to do its roles in structural adjustment and risk preven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netary Policy
Ⅳ.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기업의 외부 및 내부 사회적책임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내벤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캐릭터 비교
- 중국 왕홍 라이브 방송이 중국 소비자 구매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신용보증재단 지원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의 특성별 성과
- 코칭행동의 문제해결과 학습촉진이 직무만족과 업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English curriculum: A case of Singapore
- Monetary Policy Effectiveness in China: Evidence from a Structural VAR Model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