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불확산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불 진화선 구축 방향 고찰
이용수 67
- 영문명
- Exploring Directions for Establishing Forest Fire Containment Lines through Forest Fire Spread Prediction Simulations: A Case Study of 2022 Uljin-Samcheok Wildfir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남균(Nam Gyun Kim) 염찬호(Chan Ho Yeom) 권춘근(Chun Geun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5, 73~8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2 울진-삼척 산불에 대하여 산불 확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간대별 산불 확산 피해를예측하였다. 산불 진화에 따른 산불 확산 면적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확산면적을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산불 진화선 구축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발화지점의 주변을 중심으로 험준한지형과 침엽수인 소나무림으로 구성되어 산불에 취약한 구조이고, 산불 발생 초기에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대형 산불로 확산되었다. 실제 산불 대응이 없었을 경우에는 29시간 만에 102.3km2의 산불이확산되어 국가기반시설인 원자력 발전소의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대규모의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산림 헬기를 이용하여 산불을 억제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대형 산불의 경우 도로를 중심으로 지상진화의 경계선을 설정하여 인명 및 국가중요시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일반국도, 지방도를중심으로 넓은 면적 단위로 진화구획을 설정하고 임도의 도로망을 따라 상세 진화선을 구축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extent of forest fire damage over time was predic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for the 2022 Uljin-Samcheok forest fire. Also, the area of suppressed forest fire spread through firefighting efforts was checked and compared with the simulated forest fire spread area. Furthermore, a discussion was conducted regarding the establishment method of forest fire containment lin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area is vulnerable to forest fires because it is composed of rugged terrain and pine forests. If there had been no response to the forest fire,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102.3 km² of forest area would have been affected within 29 hours, resulting in significant socio-economic losses due to damage to the nuclear power plant. In the event of large forest fir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tainment lines along roads to protect lives and critical national infrastructure. Moreover, it is advisable to organize these containment lines into two stages: larger sections utilizing national and local roads, and smaller sections utilizing provincial and forest roads.
목차
Ⅰ. 서론
Ⅱ. 2022년 울진-삼척 산불 사례분석
Ⅲ. 산불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메타거버넌스 체계 분석
- 학교 안전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교육 혁신 방안
- 대청호 유역에서의 수자원 사회 서비스 평가체계 구축
- 산불확산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불 진화선 구축 방향 고찰
- 근린환경과 사회적 교류 및 신뢰가 감염병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응급실 간호사의 그릿, 감정노동, 직무배태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안군 태양광 발전 개발이익공유제의 지역별, 집단별 주민 만족도 및 영향요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생애주기별 고독사 위험군의 생활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5호 목차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covery Resilience on PTSD among Nurses in Cared for COVID-19 Patients
- 농업용 댐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한 우선 안전관리대상 접근성 분석
- 요양보호사의 폭력경험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