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 문법 연구
이용수 65
- 영문명
- Grammar Study of Korean Historical Video Content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the Usage Patterns of Sentence-Final Ending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심현보(Hyun-Bo Sim) 이정희(Jung-Hee Lee)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5집, 109~1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다소 무겁고 어려울 수 있는 한국의 역사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국 역사를 ‘역사소비’로서 접근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에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법을 추출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 시청에 도움이 되는 학습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Netflix가 제공하는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 총 44 작품의 대사 말뭉치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국인을 위한 역사 학습 교재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하였고, 실제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 한국문화와 더불어 역사까지 자세히 교수하기에는 교수자들의 부담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방안을 제안하였고 학습자들이 목표언어의 자막과 함께 영상을 시청하면 학습효과가 증가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에 자주 나타나는 문법 항목을 빈도별, 신분에 따른 쓰임, 성별에 따른 쓰임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engaging foreign learners of Korean with Korean history, which can be somewhat heavy and challenging, by treating it as 'history consumption.'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that aid foreign learners of Korean in watching Korean historical video content, the study compiled a corpus of dialogues from a total of 44 Korean historical video works available on Netflix. The study pointed out that existing history textbooks for foreigners are not suitable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and highlighted the issue that it increases the burden on instructors to thoroughly teach both Korean culture and history in actual Korean language learning settings. As an alternative, the study proposed the use of Korean historical video content a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showing that watching videos with subtitles in the target language enhances learning effectiveness, organized frequently occurring grammar items in Korean historical video content by frequency, usage by social status, and usage by gender to assist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범주 및 대상
Ⅳ. 연구 방법
Ⅴ. 조사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SF 게임 속 포스트휴먼
- 웹 콘텐츠 닷 페이스(Dot Face)의 액티비즘(Activism) 전개 방식
- 콘텐츠 액티비즘의 이론적 탐색
- 스토리콘텐츠 5집 목차
- 인공지능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 문법 연구
- 연대의 관점으로 바라본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양상과 의미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장소적 의미 고찰
-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 1950~60년대 문화영화 애니메이션 연구
- 명론(命論)을 활용한 영화 <관상> 분석
- 아브젝트 개념으로 접근한 ‘무진’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제목 특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