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대북 딜레마와 새로운 접근 방식
이용수 107
- 영문명
- China's North Korea Dilemma and New Approaches : Transition from Blood Alliance to Community of Shared Destiny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장영덕(Youngduk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4호, 885~91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이 직면한 대북 딜레마를 분석하고,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흔히 혈맹관계로 인식되지만, 중국은 이를 부인하고 전통적 우호관계로 규정한다. 시진핑 집권 초기 중국은 북핵문제와 북한문제를 동일시 하였고, 북한의 무력도발로 인해 북중관계는 악화되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중국은 북핵 문제와 북한 문제를 분리하여 접근하기 시작하였고, 북중관계는 다시 회복된다. 중국은 주변외교를 강화하는 한편 북한을 운명공동체로 규정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특히 운명공동체는 ‘풍우동주’ 및 ‘휴척여공’의 개념으로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 외에 군사 영역까지 포함하는 매우 적극적인 관계의 형태이다. 중국의 대북 딜레마는 여전히 존재하고, 북한의 정치상황과 미중관계의 변화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대북 접근법에 대해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North Korea dilemma faced by China since Xi Jinping's ascension to power and to propose a new approach towards North Korea. The Sino-DPRK relationship is often perceived as a blood alliance; however, China defines it as a traditional friendship. In the early years of Xi Jinping's ascension, China equate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th the North Korean problem, leading to deteriorated relations due to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Since 2018, China has approached these issues separately, restoring Sino-DPRK relations. China seeks a new type of relationship by strengthening diplomacy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defining North Korea as a community of shared destiny, encompass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military spheres. The North Korea dilemma for China persists, necessitating a new perspective on China's approach, given the ongoing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evolving Sino-American rel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정치·안보 상황 변화와 중국의 대북 딜레마
Ⅲ.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딜레마의 심화
Ⅳ. 중국의 새로운 대북 접근법, 운명공동체의 제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명리학 구조에 관한 연구
-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서점의 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인 원폭 피해 사실의 기억화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
- 북한 관련 법안의 가결 요인
- 1930년대 북선 여행과 백두산에 대한 인식
- 영화를 매개로 한 노인시민교육 사례연구
- 유아교사의 그릿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사회에서 K-culture의 효과
- 중년의 음주와 자살생각의 관계
- 사라지는 지역 문화자원으로서 골목길에 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계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 영화 <4월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연구
- 대인관계 효율성을 매개효과로 한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이 업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사례연구
- ERIS 모델에 따른 기술융합 예술 스타트업의 성공 요인 분석
- 중국의 대북 딜레마와 새로운 접근 방식
- 산출지향 접근법(POA)에 기반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그릿과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 동아시아 이주사의 시각으로 본 난수산(蘭秀山)의 난
- 중국 무형문화재 AI 스마트 음성 대화 앱의 이용자 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 중국 사용자의 AI 한국어 학습 앱 사용의도 연구
- 중기(重記) 자료를 중심으로 본 19세기 조선(朝鮮) 해군(海軍) 전력(戰力)의 일단(一端)
- 해석적 현상학 측면에서 본 한국요양보호사 절대다수가 고령 여성인 요인 탐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을 위한 애도 프로그램 개발
- 윤동주와 대망서(戴望舒)의 시에 나타난 항일의식 비교 연구
- 문화 창업에 있어 예술 후원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he American spiritual symbol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sociology : taking “Rhapsody in Blue” as an example
-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원조 정책 전략성 분석
- 자녀사별 부모를 위한 불교 상담 연구
- 김소월과 서지마(徐志摩)의 애정시 비교 연구
- 한국과 세계 제6권 4호 목차
- 청소년의 성격과 거부민감성 간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 남북간 지적재산권 쟁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