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형퍼즐 집단활동이 노인의 정서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15
- 영문명
- The Effect of Figure Puzzle Group Activity onthe Emotion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저자명
- 김말선(Mal-Seo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상담연구』제8권 제1호, 49~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형퍼즐 집단활동은 노인의 정서 요인으로 설정한 우울, 불안, 무망감, 고립감은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 조사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12명으로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검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으며, 도형퍼즐 집단활동의 효과성은 Wilcoxon-Ranks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검증하였다. 도형퍼즐 집단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는 SPSS 20.0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도형퍼즐 집단활동은 노인의 정서 요인으로 설정한 우울, 불안, 무망감, 고립감은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형퍼즐 집단활동은 노인의 자기효능감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에서 무망감과 자기효능감은 통제적 유의성이 확인되었지만, 우울·불안·고립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도형퍼즐 집단활동은 노인의 정서 요인으로 설정한 우울, 불안, 무망감, 고립감과 자기효능감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변화량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형퍼즐 집단활동이 활성화되길 기대하면서 도형퍼즐 집단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hape puzzle group activities are, Depression, anxiety, hopelessness, and isolation set as emotional factors for the elderly,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verifying the pre-post difference within the group, and the study was investigated.
To test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with the SPSS 20.0 program in 12 people for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dv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graphic puzzle group activities was verified by the Wilcoxon-Ranks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the shape puzzle group activ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esting the pre- and post-differences within the group on depression, anxiety, hopelessness, and isolation, which were set as emotional factors for the elderly. Second, in the shape puzzle group activity, the pre-post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the elderly was verifi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trolling significance was confirmed for hopelessness and self-efficacy, but depression, anxiety, and iso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shape puzzle group activity was tes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depression, anxiety, hopelessness, isolation, and self-efficacy, which were set as emotional factors for the elderly.
Through this study, In anticipation of the activation of figure puzzle group activities, we suggested action pla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figure puzzle group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도형퍼즐과 집단활동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