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의 COVID-19 시기 자립생활에 대한 질적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Independent Living of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은혜(Eun Hye Kim) 이주경(Ju Kyung Lee) 이혜경(Hye 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4, 97~1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하는 정신장애인이 COVID-19를 경험하면서 위기가 자립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0명을대상으로 면접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내가 생각하는 자립의 의미’, ‘자립을 위한 필요조건’, ‘COVID-19가자립생활에 미친 영향’, ‘COVID-19 위기에 대한 적응과 대처’의 네 가지 주요 주제를 확인하였다. 이를바탕으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일상생활을 공유할 수 있는기회가 지역사회 안에서 더욱 다양하게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사회적지지체계로 가족, 동료지원가, 지역주민,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교육과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이 COVID-19와 같은 전염병 위기 상황뿐만 아니라재발, 가족 갈등 등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위기들에 대처하고 자립생활에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서비스 방식을 구축 및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ovid-19 crisi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were living independently. We interviewed with 10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were living independently. As a result, four major themes were identified: ‘What I think of independenc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independence’, ‘The impact of covid-19 on independent living’, and ‘Adaptation and coping with the covid-19 crisis’. Based on these,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to engage in shared activities with non-disabled people. Second, Education and support should be expa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mental disorders for families, peer supporters, local residents, and experts. La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organize various service methods so that they can cope with not only infectious diseases crises such as covid-19, but also crises tha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ma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relapse and family conflict, and can be used for independent liv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4 목차
- 역량기반교육 전환에 따른 경찰리더십 교육의 방향과 과제
- 영향한계강우량을 고려한 삼척시 호우특보 기준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에 대한 낙관적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yper KANAKO System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 저감을 위한 계통적 사방대책의 평가
- 정신장애인의 COVID-19 시기 자립생활에 대한 질적연구
- 임상 수행 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에서 눈치의 매개효과
- 베이지안 다수준 모형을 활용한 고령운전자 사고의 식별
- 지하차도 침수 피해 예방 및 대피 훈련 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클라이언트 사망을 경험한 사회복지사를 위한 집단인지행동치료 효과성 연구
-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인식이 환경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북한 비핵화를 위한 미국의 대중(對中) 전략적 경쟁 접근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