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7세기 전라도 泰仁의 사족과 武城書院의 位格 변화
이용수 134
- 영문명
- The Families of the scholar-officials in Taein and the change of the Status of Museong seowon in the 17th Century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이선아(Sun Ah LEE)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9輯, 121~16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시대 무성서원은 태인현에 위치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으로 정읍에 편제되어 현재는 정읍시 칠보면에 위치해 있다. 신라 말에 태산 태수에 부임한 崔致遠과 조선 명종대 태인현감에 제수된 申潛을 비롯하여 丁克仁, 宋世琳, 鄭彦忠, 金若默, 金灌을 배향한 서원이다. 문묘에 배향된 최치원을 제외하면 지역의 ‘鄕賢’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 배향되었다.
일찍이 태인 사람들은 최치원을 모시는 泰山祠를 짓고 고을의 성황신으로 모셨다. 1615년(광해 7)에 태수와 현감으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푼 최치원과 신잠을 합향하는 태산서원을 건립하였다. 태산사를 태산서원으로 확장한 후, 1630년(인조 8)에 정극인・송세림・정언충・김약묵이 추향되었고, 1675년(숙종 1)에 김관이 추향되었다. 추향된 鄕賢은 태인에 입향한 송연손의 ‘內外孫’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출사한 이후, 士禍로 정국이 혼란한 시기에 활동한 태인을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태인의 사족은 태산서원을 건립한 지 80여 년이 지난 1695년(숙종 21)에 請額을 위한 疏會를 열었고, 태인과 각지의 유생 200명이 참여하여 청액소를 작성하였다. 청액에 참여한 유생은 대체로 서인과 연결되어 있었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정권을 장악한 상황에서 호남의 서인이 결집하여 청액을 요청하자, 예조에서는 ‘疊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사액을 윤허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건의하였고 숙종은 윤허하였다. 1696년(숙종 22)에 사액서원으로 지정된 이후 원장에 남구만, 경유사에 조상우로 원임이 구성되었다. 소론으로 활동하는 남구만, 최석정 등의 역할은 무성서원의 위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성서원은 문묘에 從享된 최치원이 배향되었기 때문에 일반 사액서원과 달리 定員이 30명으로 규정되었다. 현재 17세기에 작성된 6종의 院儒生案과 18세기에 작성된 2종의 院生案이 남아 있어서 사액 전후의 講生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Joseon Dynasty, Museong seowon was located in Taein- hyeon, but now it is located in Chilbo-myeon, Jeongeup-si. Museong Seowon was constructed in 1615.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it was named Taesan Seowon. Taein people built Taesansa for Choi Chi-won, and expanded Taesansa to build Taesansa Seowon. Then, the plaque of Sinjam, who was appointed as Taesan's prefectural governor, was enshrined to commemorate him.
In 1630, additional memorial tablets for Jeong Geuk-in, Song Se-rim, Jeong Eon-chung, and Kim Yak-mook were enshrined. They were Neo- Confucian scholars who passed the bureaucratic selection test and were either from Taein or had a relationship with Taein. In 1675, a plaque was enshrined in memory of Kim Kwan. They were also descendants of Song Yeon-son, who lived in Taein, and were scholars representing Taein, who kept ethical principles and beliefs during the political collapse of Confucian scholars.
In 1695, Confucian scholars from Taein gathered to request a signboard written by the king himself. This is because the sign of the king's handwritten signboard symbolized the status of a seowon recognized by the state. They requested the document which was to be written by the king, involved 200 people from Taein and nearby areas. Most of the people who signed the documents were connected to the Seo-in.
When local Confucian scholars gathered and asked for it, the name of Museong and a signboard written by the king were approved after discussion by the government. Museong seowon became a state-recognized seowon in 1695 when Seo-in was in power. After recognized by the state, Museong seowon could receive economic and social preferential treatment and gradually increased its status in the region.
목차
1. 머리말
2. 泰山書院 건립과 ‘鄕賢’ 추향
3. 서인 정권과 무성서원 賜額
4. 무성서원 院儒와 태인 사족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