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엔(UN) 조달시장의 이해와 한국 기업의 진출 현황과 사례 및 진출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4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understanding the United Nations (UN) procurement market and the current status, cases, and entry strategies of Korean companies
발행기관
한국구매조달학회
저자명
문형남(Hyung-Nam Moon)
간행물 정보
『한국구매조달학회지』제23권 제1호, 55~6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유엔(UN) 조달시장의 현황과 한국 기업들의 진출 사례를 분석한다. 먼저 유엔 조달시장의 규모와 특성, 참여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하고, 유엔 조달시장에서의 경쟁 환경을 살펴본다. 이어서 한국 기업들의 유엔 조달시장 진출 현황과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그들의 전략과 성과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향후 한국 기업들이 유엔 조달시장에서 더 많은 기회를 잡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인터뷰 및 데이터 분석을 한다. 문헌조사는: 유엔 조달 관련보고서, 학술논문, 정부보고서 등을 조사한다. 인터뷰는: 유엔 조달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데이터 분석은 유엔 조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엔 조달시장 전체 규모와 한국 기업들의 실적과 성장 추이를 분석한다. 유엔 조달시장(United Nations procurement market)은 국제기구인 유엔(UN)이 필요한 물품과 서비스(goods and services)를 구매하는 시장으로, 전 세계 조달시장 중 가장 큰 규모의 조달시장이다. 유엔 조달시장은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9년에 199억달러에서 2020년에 223억달러를 기록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296억 달러의 예산을 집행하여 연간 300억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유엔 조달시장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의료용품과 방역물품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전체 조달 규모도 대폭 증가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유엔 조달시장은 미국, 벨기에, 영국, 덴마크, 스위스, 인도, UAE, 튀르키에, 프랑스, 아프가니스탄 등 상위 10개국이 전체의 42.4%를 차지하고 있다.1) 한국 기업의 유엔 조달시장 진출 규모는 2022년 기준 3억2천4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6% 급증했으며, 2023년에는 11년 만에 유엔 안보리 재진입에 성공하면서 유엔 조달시장에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것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 조달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큰 규모와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수요가 존재한다. 한국 기업들은 최근 몇 년간 유엔 조달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기업들의 성공적인 유엔 조달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제품 품질향상, 가격 경쟁력 확보, 마케팅 활동 강화,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 앞으로는 친환경 제품이나 사회적 가치를 담은 제품 등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여 유엔 조달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정부 기관과 대학, 연구소 등에서 유엔 조달시장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한국 기업들은 유엔 조달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공공조달시장 전반에 대해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 유엔 조달시장에 대한 정보 수집과 분석 능력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ted Nations (UN) procurement market and the entry of Korean companies. It first explains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 procurement market, methods and procedures for participation, and examines the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UN procurement market. It then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success of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UN procurement market and evaluates their strategies and performance. Finally, the study suggests ways for Korean companies to seize more opportunities in the UN procurement market in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Literature review: Examines UN procurement-related reports, academic papers, and government reports. Interviews: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that have entered the UN procurement market. Data analysis analyzes the overall size of the UN procurement market and the performance and growth trends of Korean companies using the UN procurement database. The United Nations procurement market is a market where the UN,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purchases necessary goods and services, and is the largest procurement market in the world. The UN procurement market has been growing steadily every year, reaching $19.9 billion in 2019 and $22.3 billion in 2020. In 2021 and 2022, it is budgeted to spend $29.6 billion each, approaching $30 billion annually. The UN procurement market provides opportunities to supply excellent products and services in various industries. In 2021 and 2022, the demand for medical supplies and quarantine suppli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COVID-19, and the overall procurement scal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products and services utiliz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 has also increased recently. The top 10 countries in the UN procurement market are the United States, Belgium, the United Kingdom, Denmark, Switzerland, India, UAE, Turkey, France, and Afghanistan, accounting for 42.4% of the total. 2022 Annual statistical report on United Nations procurement, 2023. p. 16. As of 2022, the scale of Korean companies’ entry into the UN procurement market has increased by 35.6% year-on-year to $324 million, and in 2023, with the successful re-entry into the UN Security Council after 11 years, it is expected that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the UN procurement market will become more active. The UN procurement market has a large scale and high stability worldwide, and there is deman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Korean companies have shown steady growth in the UN procurement market in recent years.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successfully enter the UN procurement marke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duct quality,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strengthen marketing activities, and build a cooperative network.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differentiated products such as eco-friendly products or products with social value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e UN procurement market. Domestic government agenc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expand their interest in and support for the UN procurement market. Korean companies should actively enter not only the UN procurement market but also the overseas public procurement market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on the UN procurement market, and to establish and implement systematic strategie.

목차

Ⅰ. 서론
Ⅱ. 유엔(UN) 조달시장의 이해
Ⅲ. 한국 기업의 유엔 조달시장 진출 현황, 사례, 전략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형남(Hyung-Nam Moon). (2024).유엔(UN) 조달시장의 이해와 한국 기업의 진출 현황과 사례 및 진출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구매조달학회지, 23 (1), 55-67

MLA

문형남(Hyung-Nam Moon). "유엔(UN) 조달시장의 이해와 한국 기업의 진출 현황과 사례 및 진출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구매조달학회지, 23.1(2024): 55-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